관수량이 sweet basil(Ocimum basilicum)의 생장과 정유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Watering on Growth and Essential Oil Content of Sweet Basil (Ocimum basilicum)

  • 백혜원 (고려대학교 원예과학과) ;
  • 박권우 (고려대학교 원예과학과)
  • Baeck, Hae-Won (Department of Horticultural Science, Korea University) ;
  • Park, Kuen-Woo (Department of Horticultural Science, Korea University)
  • 투고 : 2000.12.15
  • 심사 : 2001.02.07
  • 발행 : 2001.03.31

초록

관수량 조절을 통하여 수분 스트레스를 주어 외관상의 생육과 품질, 정유의 생산성과의 관계를 구명하고자 하였다. 수분 스트레스는 관수량에 따라 처리하였는데 코코넛파이버와 펄라이트를 1:1로 혼합한 배지가 충진된 와그너 포트(1/20000a, ${\phi}24cm$)에 정식하여 처음 2주 동안은 주당 25mL, 다음 3주 동안은 30mL을 관수한 구를 D1이라 하고, 각각 75mL, 90mL(D2), 225mL, 270mL(D3), 675mL, 810mL(D4)을 관수한 네 처리구와 수분 스트레스를 주지 않은 구로 DFT구를 설정하였다. 생체중과 엽면적은 D3과 D4에서 가장 좋았다. 이 두 처리구가 근활력에서도 D1 처리구의 2배 이상으로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생체중 100g당 정유함량과 유선은 가장 관수량이 적은 D1 처리구에서 0.33%로 가장 높았다. D1 처리구가 proline과 peroxidase activity이 가장 높았고, 광합성, 기공저항, 기공전도도 등이 가장 낮아서 수분 스트레스를 가장 많이 받았음을 알 수 있었다. 주당 정유함량과 생산량의 측면에서 볼 때 생장과 정유함량 두 요소 모두 적절하였던 D3 처리구가 47.37mg으로 20mg 이하의 나머지 처리구에 비해 월등히 높았다. 외관 생육, 정유함량 및 생산량의 측면에서 볼 때 1-2주에는 225mL, 3-5주는 270mL을 관수한 D3 처리구가 최적의 관수량이었다. 따라서 최대의 정유 생산을 위해서는 최대의 생장을 유지시킨 후 수확 직전에 수분 스트레스를 준다면 정유합성을 증가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watering with relation to growth, quality and yield of essential oil in sweet basil. The degree of water stress was taken as amount of watering. D1 was watered with 25mL for 2 weeks and 30mL from 4 to 5 weeks after planting in Wagner pot (1/20000a, ${\phi}24cm$). As this, 75mL and 90mL, 225mL and 270mL, and 675mL and 810mL were watered in D2, D3, and D4 treatment respectively. DFT was set up as water stress was not inflicted. The growth of basil in D3 and D4 was better than that of others, in which root activity was as much twice as that of D1. Essential oil of D1 was recorded the lowest content as 0.33%. The result of proline content, peroxidase activity, photosynthesis, stomatal conductance and stomatal resistance were proved D1 to be stressed. This treatment consequently increased the content of essential oil. In consideration of growth and essential oil content, D3 treatment was highest as 47.37mg in oil production per plant. Finally, D3 watered with 225mL for 2 weeks and 275mL from 4 to 5 weeks after planting could be selected on the purpose of both plant growth and essential oil production. Essential oil content of sweet basil was increased in response to water stress. For increase of essential oil yield, oil synthesis could be raised by giving water stress just before harvesting.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