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렁쉥이 (Halocynthia roretzi)에 의한 중금속 축적

Accumulation of Heavy Metals by Sea Squirt, Halocynthia roretzi

  • 김성길 (부경대학교 수산생명의학과) ;
  • 곽희상 (한국해양연구소 해양생물연구부) ;
  • 최청일 (한양대학교 지구해양과학과) ;
  • 강주찬 (부경대학교 수산생명의학과)
  • KIM Seong-Gil (Department of Aquatic Life Medicine,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 KWAK Hi-Sang (Biological Oceanography Laboratory, KORDI) ;
  • CHOI Chung-Il (Department of Earth and Marine Science, Hanyang University) ;
  • KANG Ju-Chan (Department of Aquatic Life Medicine,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발행 : 2001.03.01

초록

본 연구는 우리나라 연안에 존재하는 중금속이 우렁쉥이에 축적되는 정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경상북도 월성군 주변해역에 우렁쉥이의 시험양식장을 설치하여 이들 기관에 따른 Cd, Cu와 Pb의 축적정도를 비교 $\cdot$ 검토하였다. 시험 양식장의 수온은 $10.7\sim25.2^{\circ}C$, 염분은 $33.0\sim34.6\%_{\circ}$, pH은 $8.25\sim8.49$, SPM은 $1.50\sim14.97\;mg/L$가 측정되었다. 우렁쉥이의 각 기관별 중금속의 함량은 Cd가 입수공>창자>출수공>아가미>위>생식소>아가미주머니>피낭, Pb가 입수공>출수공>위>창자>아가미>생식소>아가미주머니>피낭, Cu가 창자>위>출수공>입수공>아가미>생식소>아가미주머니>피낭 순서로 나타나 Cd와Pb는 입수공, Cu는 창자에서 가장 높았으며, 피낭에서는 모든 중금속이 가장 낮았다. 또한, 상기의 각 기관을 각각 아가미 (입수공, 아가미),내장 (출수공, 창자, 위),근육 (아가미주머니), 생식소 및 피낭으로 대별하여 중금속의 축적정도를 보면, 다음과 같이 Cd와Pb는 우렁쉥이의 아가미에 가장 많이 축적되었고, Cu는 내장에 가장 많이 축적되었다. Cd: 아가미$\geq$내장 > 생식소 > 근육 > 피낭 Pb: 아가미$\geq$내장 > 생 식소 > 근육$\geq$피낭 Cu: 내장 > 아가미 > 생식소 > 근육 > 피낭

Experimental culture of Halocynthia roretzi was carried out near coast by Wolsung from January to August 1997 to investigate accumulation of heavy metals (Cd, Pb and Cu) by H. roretzi, Water temperature, salinity, pH and Suspended Particulate Matter (SPM) were $10.7\sim25.2^{\circ}C$, $33.0\sim34.6\%_{\circ},\;8.25\sim8.49\;and\;3.84\ksim7.92\;mg/L$, respectively, The heavy metal accumulation in H. roretzi was in the order of Cu>Pb>Cd. Heavy metal concentrations in the organs showed following order; Gill${\geq}Viscera{\gg}$Gonad>Muscle>Mantle for Cd, $Gill{\geq}Viscera{\gg}$ Gonad> Muscle$ {\geq}$Mantle for Pb and Viscera>Gill${\gg}$ Gonad>Muscle>Mantle for Cu.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