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해안 지역 우렁쉥이, Halocynthia roretzi의 양식 수심, 수하연 간격 및 종묘생산지에 따른 성장 특성

Growth Variation with Culture Depth, Interval Between Suspended Lines and Locality of Seedling of Sea Squirt, Halocynthia roretzi (von Drasche) in Suspended Culture in the East Sea

  • 홍정표 (국립수산진흥원 동해수산연구소) ;
  • 이주 (국립수산진흥원 동해수산연구소) ;
  • 류호영 (국립수산진흥원 생물공학과) ;
  • 허성범 (부경대학교 양식학과)
  • HONG Jeung Pyo (East Sea Fisheries Research Institute, NFRDI) ;
  • LEE Chu (East Sea Fisheries Research Institute, NFRDI) ;
  • RYU Ho Young (Biotechnology Division, National Fisheries R & D Institute) ;
  • HUR Sung Bum (Department of Aquaculture,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발행 : 2001.07.01

초록

1998년 1월 7일부터 1998년 12월 6일까지 총 333일간 경북 포항시 구룡포읍 장길리 연안에서 채묘 후 1년이 경과한 체고 $10.1\~15.8mm$ 사이의 새끼 우렁쉥이 Halocynthia roretzi (von Drasche)를 대상으로 수층별, 수하연 시설 간격별 및 종묘생산지별의 성장에 관하여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수온은 $12.07{\sim}24.14^{\circ}C$의 분포 범위로 7월의 2m층이 가장 높았고, 염분은 $32.53{\sim}33.73\%_{\circ}$의 분포 범위로 7, 8월이 낮고, 10, 11월이 높았으며, 용존산소는 $6.60{\sim}9.77mg/L$의 분포 범위로 $4\~5$월이 높고, 7월이 낮았으며, 그 외 환경도 우렁쉥이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사항은 발견할 수 없었다. 2. 종묘생산지별 월별 체고 성장은 양식 시작시 체고가 남해안산이 15.81 mm, 동해안산 10.12mm, 일본산 15.34mm인 것이 11월에는 각각 74.64mm ($\pm7.19mm$), 72.80 mm ($\pm11.67mm$), 73.90mm ($\pm5.71mm$)로 성장하여 종묘에 따른 체고 성장에 대한 통계적인 차이는 없었으며, 이들 각각에 대한 성장식은 다음과 같이 회귀직선식으로 표시할 수 있었다. 남해안산 $$TH=5.8996D+13.43\;(R^2=0.9133)$$ 동해안산 $$TH=6.1560D+5.3362\;(R^2=0.9852)$$ 일본산 $TH=6.0739D+11.743\;(R^2=0.9053)$$ 또한 체고 (TH)에 대한 체중 (TOW)의 성장식은 다음과 같이 지수곡선식으로 표시되었다. 남해안산 $$TOW=0.0008TH^{2.6042}\;(R^2=0.9567)$$ 동해안산 $$TOW=0.0005TH^{2.7284}\;(R^2=0.9638)$$ 일 본 산 $4TOW=0.001TH^{2.5677}\;(R^2=0.9666)$$ 3. 수하연 시설 간격별 체고 성장은 2.5m와 2.0m가 서로 유사한 성장을 보이면서 1.5m나 1.0m 시설구보다 높았고, 체고의 일간 성장율은 2.5m, 2.0m, 1.5 m, 1.0m 순위였으나 통계적인 차이는 없었다. 체중의 일간 성장율은 2.5m 시설구가 다른 시설구에 비해 높았다. 4. 수층별 성장은 $10\~12m$ 수층에서 성장이 가장 양호하였고, 다음이 $14\~16m$수층과 $6\~8m$수층으로 이들 두 수층간에는 유사한 성장을 보였고, $2\~4m$ 수층이 가장 낮은 성장을 보였다. 특히 $10\~12m$ 수층에서 체고의 성장률은 성장기 II와 IV구간에서 각각 $244{\mu}m/day$$338{\mu}m/day$로 비교적 높았고, I구간에서는 $108{\mu}m/day$로 가장 낮았다.

We examined the growth variation with water depth, interval between suspended lines and locality of seedling production of sea squirt. Halocpthia roretzi, measuring approximately $10.1\~15.3$ mm in tunic height, was cultured at the farm near Guryongpo, Pohang city from 7 January to 6 December 1998 (333 days). Growth condition depending on culture depth was most favourable at the depth of $10\~12$m, It was concluded that nutritional conditions were better at the depth since there was a greater mount of phytoplankton than at any other depth in the water column. Growth condition depending on distance between suspended lines was most favourable at the interval of 2 m and 2.5 m than at the interval of t m and 1.5 m, There was no significance difference in growth variation with locality of seedling. The seasonal variations in growth of tunic height, meat and total weight were correlated with temperature and chlorophyll a, In the depth of $10\~12m$ the rate of increase in tunic height was generally greatest in the growth period II ($244{\mu}m/day$) and IV ($338{\mu}m/day$), lower in the period I ($108{\mu}m/day$), and slightly increased during the period III ($185{\mu}m/day$). The water column have showed a typical seasonal pattern with temperature ranged between $12.07{\sim}24.14^{\circ}C$ and over $20^{\circ}C$ between July and September.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