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판 국내산 및 일본산 마른멸치의 품질 비교

Quality Comparison of Commercial Boiled-Dried Anchovies Processed in Korea and Japan

  • 김진수 (경상대학교 해양생물이용학부/해양산업연구소) ;
  • 허민수 (경상대학교 해양생물이용학부/해양산업연구소) ;
  • 김혜숙 (경상대학교 해양생물이용학부/해양산업연구소)
  • KIM Jin-Soo (Division of Marine Bioscience/Institute of Marine Industry,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 HEU Min-Soo (Division of Marine Bioscience/Institute of Marine Industry,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 KIM Hey-Suk (Division of Marine Bioscience/Institute of Marine Industry,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발행 : 2001.11.01

초록

수입산 마른멸치의 품질을 제시하기 위하여 일본산 마른멸치(중멸 및 자멸)의 식품학적 품질특성 (아미노산, 무기질 및 지방산과 같은 구성성분, 과산화물값 및 색도와 같은 지질산패도, 휘발성염기질소, 형상 둥과 같은 기호도 둥)을 국내산 마른멸치와 비교하여 살펴보았다. 일본산 멸치는 수분이 $22.2\sim24.7\%$ 범위, 염도가 $5.7\sim6.6\%$ 범위 및 산불용성 회분이 $0.42\sim0.50\%$ 범위이었다. 관능검사 결과 일본산 멸치는 형태의 경우 손상이 거의 없었고, 표면색의 경우 고유의 유백색에서 밝은 등황색을 나타내었으며, 이미, 이취가 없으면서 마른멸치 고유의 풍미를 가지고 었다. 따라서 이를 한국산업규격에 적용하는 경우 일본산 마른멸치의 경우 특급으로 분류되었다. 일본산 마른멸치는 구성아미노산 및 무기질로 살펴 본 영양 특성은 두 성분 모두 국내산과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일본산 마른멸치의 경우 과산화물값 및 헌터의 황색 도로 살펴 본 지질 산화 측면에서는 유통기간 및 저장기간을 거치지 않은 국내산보다는 품질이 약간 낮았으나 소비자가 관능적으로 인지할 정도는 아니라고 판단되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quality of the commercial boiled-dried anchovies processed in Japan by determining chemical components and sensory evaluation. The moisture, salinity and acid-insoluble ash contents of the imported boiled-dried anchovies ranged $22.2\sim24.7\%,\;5.7\sim6.6\%\;and\;0.42\sim0.50\%$, respectively. By sensory evaluation, the imported boiled-dried anchovy was less than $5\%$ in breakage, whitish of yellowish in color and no foul smell in odor. Judging from the above results by Korean standard, the imported boiled-dried anchovy was classified into special grade. No difference in total amino acid and a major mineral contents were found between commercial boiled-dried anchovies processed in Korea and Japan. On the other hand, the lipid oxidation of the imported boiled-dried anchovy was inferior to the domestic boiled-dried anchovy sampled immediately after processing.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