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분진에 의한 건강영향

Health Effects of Ambient Perticulate Pollutants

  • 홍윤철 (인하대학교 의과대학 산업의학과) ;
  • 조수헌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및 의학연구원 환경의학연구소)
  • Hong, Yun-Chul (Department of Occupational Medicine, Inha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Cho, Soo-Hun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and Institute of Environmental Medicine, SNUMRC)
  • 발행 : 2001.06.01

초록

대기분진의 영향을 분석한 역학적 연구들은 분석방법의 오류, 생물학적인 타당성, 혼란변수의 통제 등 여러 가지 제한점들을 갖고 있기 때문에 이를 해석할 때 주의를 요한다. 그러나 대기분진역학연구들이 여러 가지 다른 연구방법과 자료원, 그리고 분석기법 등을 적용하였는데도 불구하고 연구결과간에 일치성이 매우높기 때문에 대기분진의 인체효과에 대한 연구결과가 일정한 방법론적인 또는 분석상의 오류에 의해서 나타났을 가능성은 거의 없다. 역학적 연구들이 생물학적인 타당성에 대한 상세한 근거를 제시하기는 어렵지만 서로 다른 연구들의 결과가 호흡기질환 및 심혈관계질환에 대한 건강영향을 나타내고 있으나 기타 질환에 대해서는 의미있는 결과들이 거의 없다는 것은 대기분진이 호흡기질환 및 심혈관계질환에 미치는 생물학적인 기전의 근거를 강하게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대기분진 역학연구의 또 다른 중요한 관심사는 혼란변수의 통제 문제이다. 혼란변수란 노출과 질병에 서로 연관되어 있는 다른 위험인자가 분석에서 적절하게 통제되지 못하였을 때 이로 인하여 대기분진과 건강영향의 관련성이 잘못 나타나는 것을 말한다. 그러나 역시 서로 다른 연구들에서 여러 가지 혼란변수가 관련성에 영향을 미쳤다면 여러 지역의 다양한 연구에서 일정한 결과를 제시하기는 어려웠을 것이므로 대기분진과 건강영향의 관련성이 혼란변수의 부적절한 처리 때문에 나타난 것이라고 보기는 어렵다. 물론 대기분진 이외의 가스상 오염 물질이 같이 존재하고 또 서로간의 상관성이 매우 높기 때문에 이러한 대기오염 물질의 영향을 완전히 통제한 상태에서 대기분진만의 영향을 관찰한다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따라서 다중 공선성의 문제나 교차효과의 문제 등이 앞으로 대기분진 역학연구의 과제일 것이다. 결론적으로, 대기분진이 사망률 및 병원 내원율 등에 미치는 영향은 확립되었다고 보아도 될 것이다. 또한 우리나라의 연구들을 통하여 대기분진의 건강영향은 예외 없이 우리에게도 나타나는 문제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역학적 관련성에 대한 성과에도 불구하고 발생기전의 평가, 감수성 인구집단의 확인, 예방 및 관리 대책 마련 등 앞으로 해야 할 과제가 많이 남아있다.

Recently, numerous studies have focused on the health effects of ambient particulate pollutants. Compared to earlier studios that focused on severe air pollution episodes, recent studies are more relevant to understanding the health effects of air pollution at levels common to contemporary cities. We reviewed recent epidemiologic studies that evaluated health effects of particulate air pollution and concluded that respirable particulate air pollution is an important contributing factor to acute mortality and morbidity. We observed increased respiratory and cardiovascular deaths, increased hospital admissions and visits, and decreased lung function. We also observed increased mortality and morbidity in a Korean population. Theses health effects were observed at levels below the current Ambient Air Quality Standard for particulate air pollution.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