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생단계에 따른 닭 태자 췌장에서 serotonin 면역반응세포에 대한 면역조직화학적 연구

An immunohistochemical study of the serotonin-immunoreactive cells in the developing pancreas of the chicken embryos

  • 함태수 (영남대학교 자연자원대학 생물자원학부)
  • Ham, The-su (College of Natural Resources, Yeungnam University)
  • 심사 : 2001.05.15
  • 발행 : 2001.06.25

초록

부란 1일부터 부화직후까지의 닭 태자 췌장에서 serotonin 면역반응세포들의 부위별 분포 및 상대적 빈도를 면역조직화학적 방법으로 검색하였다. 췌장은 해부학적으로 배쪽, 등쪽, 제 3엽 및 비장엽의 4개엽으로 구분하였으며, 각 엽은 조직학적으로 외분비 부분, light 및 dark 췌장섬의 3부분으로 세분하였다. 이들의 각 발생단계에 따른 닭 췌장에서 serotonin 면역반응세포들의 분포 및 빈도는 췌장의 엽, 조직학적 부위 및 발생단계에 따라서 매우 다양하게 관찰되었으나, 대체로 원형 또는 난원형의 형태로 모든 엽에서 관찰되었다. 외분비 부분에서 serotonin 면역반응세포들은 비장엽의 경우 부란 13일과 14일에서만 국한되어 관찰되었고, 제 3엽에서는 부란 10일부터 부란 19일 동안 관찰되었다. 또한 배쪽엽에서는 부란 10일부터 부화 직후까지 관찰되었으며, 등쪽엽에서는 부란 11일부터 부화 직후까지 관찰되었다. 췌장섬에서 이들 면역반응세포는 비장엽의 dark 췌장섬에서만 부란 15일과 부란 16일에 국한되어 극소수 관찰되었고 다른 엽 또는 light 췌장섬에서는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serotonin 면역반응세포들은 부란 발생 초기에는 다수 관찰된 이후 발생단계에 따라 점차적으로 감소되며 이런 양상은 엽의 종류에 관계없이 나타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The distributions and relative frequencies of the serotonin-immunoreactive cells were studied in dorsal, ventral, third and splenic lobes of developing chicken pancreas during embryonic periods (10 days of incubation to hatching) by immunohistochemical methods. The regions of pancreas were subdivided into three regions, exocrine, light and dark islets. Round and/or oval shaped serotonin-immunoreactive cells were detected in all four lobes. According to developmental stages, the types of lobes and the regions of pancreas, these immunoreactive cells were showed various distributions and relative frequencies. In exocrine portions, serotonin-immunoreactive cells were found in the splenic lobes at 13-14 days of incubation, in the third lobes from 10 days to 19 days of incubation, in the ventral lobes from 10 days of incubation to hatching and in the dorsal lobes from 11 days of incubation to hatching. In pancreatic islets, these cells were detected only in the dark islets of splenic lobes at 15 and 16 day of incubation with rare frequency. In conclusion, serotonin-immunoreactive cells decreased with developmental stages in all four lobes and their relative frequencies decreased with developmental stage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