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Volume 18 Issue 2
- /
- Pages.215-225
- /
- 2001
- /
- 2799-8010(eISSN)
Change of Serum Levels of C-Reactive Protein After Coronary Angioplasty and Its Effects on Clinical Restenosis
협심증 환자에서 관동맥중재술에 따른 C-reactive Protein의 변화 및 임상경과
- Park, Jong-Seon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Hong, Gu-Ru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Lee, Chae-Hoon (Department of Clinical Pathology,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Shin, Dong-Gu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Kim, Young-Jo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Shim, Bong-Sup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박종선 (영남대하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홍그루 (영남대하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이채훈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임상병리학교실) ;
- 신동구 (영남대하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김영조 (영남대하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심봉섭 (영남대하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Received : 2001.11.15
- Accepted : 2001.12.18
- Published : 2001.12.30
Abstract
Background: There are many evidences that inflammation is an important determinant of the development of atherosclerosis and one of the systemic markers of inflammation, C-reactive protein(CRP), is associated with extent of coronary artery disease and risk of coronary events. We assessed the time response of CRP response after coronary angioplasty and it's influence on the clinical restenosis in angina patients. Materials and Methods: Patients included 36 angina patients undergoing single vessel angioplasty. Levels of CRP were measured before and 12, 24, 48, and 72 hours after angioplasty. Clinical restenosis was assessed at 6 months after procedure. Results: Baseline CRP level was
동맥경화증의 생성 및 진행과정의 병태생리에 있어서 염증이 중요한 기전으로 여겨지고 있으며, 혈중에 이러한 염증반응을 나타내는 표식자들 중의 하나인 혈중 C-reactive protein(CRP) 농도가 동맥경화증의 중증도와 관계 있으며 심혈관사고와도 밀접한 연관이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본 연구는 협심증 환자에서 관동맥중재술에 의한 혈중 CRP의 변화가 단기간 임상경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시행하였다. 1999년 12월부터 2000년 1월까지 협심증으로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 순환기내과에 입원하여 관상동맥확장술을 시행받은 36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는 내원직후 임상적 병력을 청취하였고 혈중 troponin-T, CRP를 측정하였다. 관동맥확장술 12시간,24시간,48시간 그리고 72시간 후에 혈중 CRP를 측정하였으며, 24시간 후에 혈중 troponin-T를 측정 하였다. 퇴원 6개월 후에 외래에서 환자의 임상증상 유무를 측정하였다. 1) 단일혈관질환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