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성 설사 질환에서의 식이요법에 따른 치료 효과

The Effect of Diet Therapy on the Course of Acute Diarrheal Disease

  • 양현종 (순천향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정필주 (부산 메리놀병원 소아과) ;
  • 반성환 (순천향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민용식 (순천향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박재옥 (순천향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Yang, Hyeon-Jong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Soonchunhyang University) ;
  • Jeong, Pil-Ju (Department of Pediatrics, Maryknoll Hospital) ;
  • Ban, Seong-Hwan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Soonchunhyang University) ;
  • Min, Yong-Sik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Soonchunhyang University) ;
  • Park, Jae-Ock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Soonchunhyang University)
  • 투고 : 2001.01.17
  • 심사 : 2001.02.26
  • 발행 : 2001.04.30

초록

목 적: 본 연구에서는 급성 설사 환아에서 식이요법에 따른 설사의 횟수와 지속 기간, 그리고 영양 상태의 회복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본원에 입원한 총 76명의 환아를 대상으로 35명의 전유군, 29명의 희석 분유군, 그리고 12명의 모유군으로 나누어 각 군간의 설사 횟수, 구토 횟수, 열량 섭취량, 몸무게의 증가, 그리고 설사기간을 관찰하여 비교하였다. 결 과: 1) 입원 당시 평균 월령은 12.9개월, 평균 체중은 9 kg, 설사 지속 기간은 2.29일로 각 군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05). 2) 입원 후 설사의 횟수는 각 군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3) 입원 후 열량의 섭취는 전유군과 모유군에서 희석유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5). 4) 입원 후 몸무게의 증가는 전유군과 모유군간에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희석 분유군은 유의하게 낮았다(p<0.05). 5) 입원 후 설사의 지속 기간은 각 군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결 론: 급성 설사 질환의 식이 요법은 처음부터 전유나 모유를 먹이는 것이 희석한 우유를 단계적으로 먹이는 방법에 비해 설사를 악화시키거나 지연시키지 않으며, 오히려 체중 증가와 열량 섭취증가에 이로운 장점이 있었으나 원인균에 따른 식이 요법의 효과에 대해서는 좀더 연구가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Purpose: We studied to know the effect of early feeding on the course and the recovery of acute diarrheal disease. Methods: The study was conducted on 76 patients who admitted to the Soonchunhyang university hospital for acute diarrhea. We divided 76 patients into 3 dietary groups (whole milk group (WMG): 35, diluted milk group (DMG): 29, breast milk group (BMG): 12). We compared three groups by numbers of diarrhea, numbers of vomiting, calory intake, weight increments, and duration of diarrhea. Results: 1) The mean age was $16.45{\pm}18.20$, $11.53{\pm}9.80$, $5.38{\pm}5.01$ months for WMG, DMG, and BMG, respectively. The mean weight was 9 kg and the mean duration of diarrhea was 2.29 days. 2) The numbers of diarrhea during admission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e three groups. 3) The calory intake during admission was significantly low in DMG. 4) The weight increments during admission was significantly low in DMG. 5) The duration of diarrhea during admission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e three gourps. Conclusion: Early refeeding with whole milk or breast milk did not prolong or worsen the course or symptoms of diarrhea compared with gradual reintroduction with diluted milk. But there were advantages of improved nutrition and weight increments. Futher study is necessary to demonstrate the effect of diet according to the causative organism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