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RVICOFACIAL NECROTIZING FASCIITIS;CASE REPORT

경안면 괴사성 근막염;증례보고

  • Park, Kwan-Soo (Dept. of Oral & Maxillofacial Surgery, Sanggyue Paik Hospital, Inje University) ;
  • Jeong, Ki-Hoon (Dept. of Oral & Maxillofacial Surgery, Sanggyue Paik Hospital, Inje University) ;
  • Kim, Hyo-Eon (Dept. of Oral & Maxillofacial Surgery, Sanggyue Paik Hospital, Inje University) ;
  • Jeong, Jeong-Kwon (Dept. of Oral & Maxillofacial Surgery, Sanggyue Paik Hospital, Inje University) ;
  • Yoon, Kyu-Ho (Dept. of Oral & Maxillofacial Surgery, Sanggyue Paik Hospital, Inje University) ;
  • Jeon, In-Seong (Dept. of Oral & Maxillofacial Surgery, Sanggyue Paik Hospital, Inje University)
  • 박관수 (인제대학교 부속 상계백병원 구강악안면외과학교실) ;
  • 정기훈 (인제대학교 부속 상계백병원 구강악안면외과학교실) ;
  • 김효언 (인제대학교 부속 상계백병원 구강악안면외과학교실) ;
  • 정정권 (인제대학교 부속 상계백병원 구강악안면외과학교실) ;
  • 윤규호 (인제대학교 부속 상계백병원 구강악안면외과학교실) ;
  • 전인성 (인제대학교 부속 상계백병원 구강악안면외과학교실)
  • Published : 2001.02.28

Abstract

Necrotizing fasciitis is defined as infectious disease showing extensive necrosis of the superficial fascia with widespread involvement of the surrounding tissues and concurrent systemic toxicity. It is found commonly in the extremities, the trunk and the perineum, but shows extremely rare occurrence in the well vascularized area such as head and neck area. Occurred in the head and neck area, it is called "cervicofacial necrotizing fasciitis" (CFNF). It is a fatal disease which carries a mortality rate up to 60%. Early diagnosis, aggressive surgical debridement of necrotic tissues and massive antibiotics therapy are essential for achieving a favorable outcome. We present a case of cervicofacial necrotizing fasciitis in 35-year-old male patient with literature review.

경안명 괴사성 근막염은 높은 사망률을 가진 치명적인 질환이나 혈류가 풍부한 두경부에서는 거의 발생하지 않고 피부에 괴사를 보이지 않는 경우도 많아 두경부에 발생한 감염증의 진단시에 그 가능성을 고려하지 않는 오류를 범하기 쉽다. 따라서, 일단 발생한 경우 오진 또는 뒤늦은 진단으로 환자의 생명을 위협하게 될 수 있다. 이의 진단에는 임상적 검사상 촉진시 느껴지는 염발음이 가장 중요하고 이환 부위의 종창, 악취, 지저분하고 창백하며 붉은 빛을 띠는 피부 표면의 모습, 절개 시 회색빛의 구정물과 같은 삼출물 등이 참고자료가 될 수 있으며, 컴퓨터 단층사진의 촬영을 통해 피하조직의 공기 방울이나 공기 주머니를 확인하고 hemolytic Streptococci등의 균배양 결과를 종합적으로 판단함으로써 더욱 정확한 진단이 가능해지고, 치료방법으로는 빠르고 광범위한 외과적 처치와 대량의 항생제 투여가 가장 중요하고 고압산소요법 등 기타 보조적 처치법을 적절히 시행한다면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