잔적 암쇄토의 화학조성과 풍화도

The Weathering and Chemical Composition of Young Residual Entisols in Korea

  • Zhang, Yong-Seon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RDA) ;
  • Jung, Pil-Kyun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RDA) ;
  • Kim, Sun-Kwan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RDA) ;
  • Jo, In-Sang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RDA)
  • 발행 : 2001.12.30

초록

우리 나라 산지토양의 주요 모암에서 발달된 잔적층 암쇄를 대상으로 토양의 단면 특성, 이화학적 특성 X-선 형광분석 (XRF)을 통하여 모재에 따른 토양의 화학조성 변화와 주요한 구성원소의 풍화량을 토양층위 및 모암별로 비교하였다. 모암에 관계없이 토양의 C층에 비하여 A층에서 점토함량, 양이온 치환용량 (CEC), 유기물 함량은 높았으며, 용적밀도 ($kg\;m^{-3}$)와 pH는 낮은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사암모재의 의성통에서는 점토함량이 감소하였는데 이는 토양과 함께 유실 되었거나 하부로 이동한 것으로 보였다. 토양 중 $SiO_2$함량은 화강암, 화강편마암, 석회암, 혈암 유래 토양에서, $Fe_2O_3$와 MgO는 현무암, 석회암, 혈암 유래 토양에서, CaO는 석회암 유래 토양에서 각각 높았다. 현무암 모재의 구좌통과 석회암 모재의 장성통 토양에서 작열감량(Igniton loss)이 크게 나타났다. 토양 화학성분별 풍화 정도는 공시 토양의 모암에 관계없이 염기이온(K, Ca, Mg, Na)들의 풍화량이 Si, Al, Fe 보다 크게 나타났다. C층과 비교하여 A층의 $TiO_2$의 함량비가 클수록 화학성분의 풍화정도가 큰 토양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TiO_2$가 다른 원소보다 풍화에 상대적으로 안정된 광물이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각 원소의 절대적 함량비를 고려할 때 화강암, 화강편마암, 사암, 혈암, 현무암 유래 토양에서는 Si, Al의 유실이 심했으나 석회암 유래 토양에서는 탄산염의 빠른 풍화로 Ca, Mg이온의 풍화량이 많았다. 화학 성분의 풍회가 큰 토양은 사암 유래 의 성통과 화강암 유래 도산통 >> 혈암 유래 음성통과 석회암 유래 장성통 > 화강편마암 유래 덕산통 > 현무암 유래의 구좌통 순이었다.

The weathering rates and change of chemical composition of 6 residual Entisols derived from granite, granite-gneiss, limestone, sandstone, shale, amd basalt in Korea were studied. The chemical composition of each profile with parent rocks were determined using XRF with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the morphology of soils. In the A horizons of all the soils except Euiseong series, the content of clay, organic matter and cation exchange capacity(CEC) showed higher than those of C horizon, but bulk density and pH showed lower than C horizon. Clay content in the soil from sandstone was decrease with soil depth, which may caused by the elluriation. In total element analysis. $SiO_2$ was high in the soil from granite. granite-gneiss, sandstone and compare with basalt and limestone. $Fe_2O_3$ and MgO was high in the soil from basalt, limestone and shale compare with granite. granite-gneiss and sandstone. And ignition loss was particularly high in the soil from basalt and limestone. The rate of element loss was higher in base cations(Ca, K, Mg, Na) than Si, Al, Fe in the soils. The concentrations of $TiO_2$ in the A horizon compare with that of the C horizon was due to resulting from losses of other less stable elements existed. Considering with relative rate of each elements in soils, $SiO_2$ and $Al_2O_3$ which originated from sandstone and granite, granite-gneiss, sandstone, shale, and basalt were lost higher than those from lime tone, but loss of basic cations were more in the soil from limestone which may be rapid weathering of calcite. The magnitude of losses of the overall elements were increased in the order of the soils from sandstone and granite ${\gg}$ limestone and shale) granite-gneiss and basalt.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