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e morphological variation and density of the Euglena viridis cells and environmental factors of urban waterways of Daejoncheon , Jeonjucheon, Kwangjucheon, Kumhogang, Mihocheon,and Musimcheon, Korea were studied from 25December, 1995 to 5 January, 1997 in order toelucidate possible relationships among the bio-logical and abiological factors. All E. viridis cells were same in having single star-cluster of chlo-roplast lobes and included two morphotypes based on other detailed morphology. The morphotype I cells agreed well with the typical form off. viridrs and commonly occurred in most of waters and bloomed with $5386\;cells\;{\cdot}\;mL^{-1}$ in Kwangjucheon. The density of the morphotype Ipositively correlated with ammonium (r = 0.80)and nitrite (r = 0.68), while negatively with nit-rate concentration. The morphotype II cells were characterized by having randomly scattered cytoplasmic granules beneath pellicle and unevenmargined lobes of chloroplasts. The density of the morphotype II positively correlated with nitrate (r = 0.98), while negatively correlated with ammonium and nitrite. However, the density of each morphotype was not significantly related with inorganic phosphate, temperature and pH of surface water. These results indicate that E. viridis includes two morphotypes in urban waterways in Korea, that coexist in the same period and station as a response of allocation of nitrogenous nutrients.
Euglena viridis의 형태변이, 밀도 및 환경요인과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무심천, 미호천, 대전천, 전주천, 광주천 및 금호강의 도시하천에서 1996년 12월 25일에서 1997년 1월 4일 사이에 E. viridis의 형태와 밀도 및 수환경 요인들을 조사하였다. 각 하천에서 Euglena viridis는 형태적으로 두 가지 형태형으로 구분되었으나, 엽록체가 별 모양인 점에서 동일종으로 동정되었다. 형태형 I은 E. viridis의 일반적인 형태와 일치하였고, 대부분의 정점에서 대발생하여 광주천에서 최대 $5386\;cells\;{\cdot}\;mL^{-1}$이었다. 형태형 I의 밀도는 암모늄과 아질산염에 각각 정의 상관관계 (r = 0.80과 0.68),질산염과는 부의 상관관계에 있었다. 형태형 II는 엽록체들의 가장자리가 거치형이며, 세포질 소립들이 불규칙하게 분산되어 있는 점 등이 특징이었다. 형태형 II의 밀도는 질산염과 정의 상관관계(r = 0.98)를 보인 반면, 암모늄이나 아질산염과는 각각 부의 상관관계에 있었다. 그러나 두 가지 형태형은 각각 인산염, 수온 및 pH는 밀도와 유의한 상관을 보이지 않았다. 이 결과는 E. viridis의 두 가지 형태형들이 서로 다른 질소성 영양염들을 이용하므로서 동 시기 및 동일 지소에서 공존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