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Nutrient Removal with Phytoplankton

식물플랑크톤을 이용한 영양염류 제거에 관한 연구

  • Cheong, Eui-Ho (Kangwon do Institute of Health and Environment) ;
  • Ahn, Tae-Seok (Dept. of Environmental Science,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Kim, Soon-Rae (Kangwon do Institute of Health and Environment)
  • Published : 2001.06.30

Abstract

For elucidating the effective management for nutrients removal by the phytoplankton growing at the effluents of night soil and sewage treatment plant, the dilution rates, physical operation conditions and duration of culture were defined. For nutrients removal from effluent of night soil treatment plant, lower the dilution was better, and Scenedesmus sp. was dominant. For removal from the effluent of sewage treatMent plant, the proper operation conditions were 50% of dilution rate, stirring and 2 days culturing. With these conditions, the removal rate of TKN was 88%, DIP$70{\sim}80%$ and the chlorophyll concentration reached at $1,300\;mg/m^3$ chlorophyll a concentration. the variation of chlorophyll a was highly corrrlated with ammonia ($r^2\;=\;0.96$) and DIP ($r^2\;=\;0.92$).

이 연구는 식물플랑크톤(Scenedesmus sp.)이 영양염류를 흡수하는 원리를 이용하여, 영양염류를 제거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식물플랑크톤을 교반하여 배양할 경우, 가장 빨리 증식되었고, 오수방류수를 식물플랑크톤 배양액에 50% 되도록 혼합하여, 약 2일 동안 배양시키는 것이 영양염류를 제거하는데 효율적이었다. 이러한 최적조건에서 증식된 식물플랑크톤을 GF/C glass fiber filter로 여과하여 분석한 결과, TKN는 88% 이상 제거되었고, DIP는 70${\sim}$80% 제거되었으며, 이때 식물플랑크톤이 최대한 1300mg/m$^{3}$로 증식되었다. 또한, 3시간 간격으로 영양염류의 이용과정을 분석한 결과, 식물플랑크톤의 증식은 NH$_{3}$-N(r$^{2}$=0.96)와 DIP(r$^{2}$=0.92)와는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영양염류를 섭취하여 증식된 식물플랑크톤을 여과시키거나, 동물플랑크톤에 적용시켜 먹이연쇄 관계를 이용한다면, 생태공학적으로 영양염류를 제거할 수 있고, 수계의 부영양화를 방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

References

  1. 이학석사학위 논문, 강원대학교 군부대 오수처리 효율성 향상을 위한 인공습지의 이용방안 김도선
  2. 한국물환경학회지 v.15 하폐수 고도처리를 위한 KOMIAE공정의 개발 김병군;서인석;박승국;신익상
  3. 대한위생학회지 v.13 간헐폭기 활성슬러지공정에서 C/N비와 질소제거의 관계 서인석;김병군;이상일
  4. 한국물환경학회지 v.16 연속회분식 활성슬러지 공법에 의한 오수의 현장처리 서정범;임연택;권오상;한기봉;유재근
  5. 한국육수학회지 v.29 세균군집 크기에 미치는 플랑크톤의 영향 안태석;정미정;이은주;조규송
  6. 한국육수학회지 v.31 Algalbioassay에 의한 조류생장 제한영양염류 결정 오희목;이석준;김성빈;박미경;윤병대;김도한
  7. 한국물환경학회지 v.14 간헐포기형 산화구 공법에 의한 오수처리 임연택;서정범;김용석;권오상;한기봉;유재근
  8. 한국물환경학회지 v.16 MIAP를 이용한 도시하수의 COD 및 질소 제거 특성 전향배;김병군;서인석;이상형
  9. 한국육수학회지 v.29 낙동강 수계의 인, 질소 및 Chl. a 농도 분포 허우명;김범철;황길순;최광순;박원규
  10. 한국육수학회지 v.32 달방댐 유입수의 강우에 따른 인농도 변화와 인부하량 허우명;김범철;김윤희
  11. Standard Methods for the Examination of Water and Wastewater, 19th ed. APHA.
  12. Molecular Biology of the Cell Alberts, B.;D. Bray;J. Lewis;M. Raff;K. Roberts;J. D. Wastson
  13. Algal Biology : a physiological approach 9 Darley, W. M.
  14. Hydrobiologia v.243 no.244 Differential luxury Phosphate response of planktonic algae of phosphorus removal Bolier, G.;M. C. J. Koninh;J. C. Schmale;M. Donze
  15. Illustration of the Japanese fresh-water algae Hirose, H.;T. Yamagishi
  16. Limnol. Oceanogr. v.12343-346 Determination of chlorphyll and pheo-pigments : spectrophotometic equation Lorenzen, C. J.
  17. Limnol. Oceanogr. v.10 The measurement of total phosphorus in seawater based on the liberation of organically bound fraction of persulfate oxidation Menzel, D. W.;N. Corwin
  18. Analyt. Chim. Acta v.27 A modified single solution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phosphate in natural waters Murphy, J.;J. P. Riley
  19. 日本 淡水 プランクトン 圖鑑 수야수안
  20. 衛生試驗法 註解 日本藥學會編
  21. 人工浮島の現況と「人工浮島設置の手引き」について(財) 神田耕治