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 of the Shift of Incident Beam on the Astigmatism

입사광의 편위가 난시안에 미치는 영향

  • Park, Seong-Jong (Department of Ophthalmic Optics, Sunchon Chongam College) ;
  • Joo, Suk-Hee (Department of Ophthalmic Optics, Sunchon Chongam College) ;
  • Chong, Chang-Sub (Department of Physic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박성종 (순천청암대학 안경광학과) ;
  • 주석희 (순천청암대학 안경광학과) ;
  • 정창섭 (전남대학교 물리학과)
  • Published : 2001.12.31

Abstract

We investigate the variation in the shape of confusion circle as the real amplitude distribution of incident beam in pupil area is shifted and the effect of the shift of incident beam on the astigmatism for eye. The shifted magnitudes of Incident beam are 0.0, 0.25, 0.5 and 0.75 and the shifted direction of incident beam ${\pi}/2$. We also consider the optical system having the astigmatism which are $0.0{\lambda}$, $0.25{\lambda}$, $0.5{\lambda}$ and $0.75{\lambda}$. As the shifted magnitude of the real amplitude distribution of incident beam increases, the shape of confusion circle on the image surface transfers from the rotational symmetry to the asymmetry like ellipse and the length of the major axis for confusion circle on the Image surface increases. We know from results in this paper that the shift of the incident beam in pupil area compensates the effect of astigmatism and the real amplitude distribution of incident beam in pupil area is shifted to minimize the effect of astigmatism for eye.

입사광의 진폭 분포가 임의의 방향으로 편위되었을 때 편위량의 증가에 따른 상면에서의 착락원 형태변화와 이러한 입사광의 편위가 난시안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이 때 고려된 편위량의 크기는 0.0, 0.25, 0.5 그리고 0.75인 경우이며, 편위 방향은 ${\pi}/2$이다. 또한 광학계에 포함된 비점수차량은 $0.0{\lambda}$, $0.25{\lambda}$, $0.5{\lambda}$ 그리고 $0.75{\lambda}$인 경우를 고려하였다. 상면에서의 착락원 형태는 입광의 실수 진폭 분포의 편위량이 증가함에 따라 원형 대칭에서 비대칭의 타원 형태로 변화되어 나타났으며, 비대칭 타원의 정도는 입사광의 실수 진폭 분포의 편위량이 증가함에 따라 크게 나타났다. 또한 입사광의 실수 진폭 분포가 대칭적이지 못하고 임의의 방향으로 약간씩 편위되어 분포함으로써 광학계에 포함된 비점수차를 보정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이는 난시안을 갖는 눈에 입사된 입사광은 난시의 효과를 최소화하기 위해 편위됨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