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2O3를 함유한 Bi2O3-PbO-SiO2계 유리의 유전적 특성

Dielectric Properties in Bi2O3-PbO-SiO2 Glass containing B2O3

  • 정맹식 (영동전문대학 안경광학과) ;
  • 이수대 (경남대학교 응용수리학부)
  • Joung, Maeng-Sig (Department of Ophthalmic Optics, Yeongdong College) ;
  • Lee, Su-Dae (Division of App. Math. and Appl. Kyungnam University)
  • 발행 : 2001.12.31

초록

SP-계열에서도 PbO가 증가할수록 액적의 형성이 잘 되었으나, 농도가 낮은 SP-1 시료에서는 액적을 관찰할 수 없었다. 이와 같은 현상은 PbO가 망목 수식제 역할을 하여 $SiO_2$에 의한 가교가 붕괴되어 유리화에 장애를 준 것으로 생각한다. 그러나 50 mol% 이상의 PbO를 포함한 유리에서는 $Pb^{4+}$ 이온이 망목 형성제 역할을 하기 때문에 유리화가 가능하다. SP-계열 유리의 주파수에 대한 전기전도도를 해석한 결과 고온에서 전기전도는 bipolaron에 의한 것이며, 저온에서 전기전도는 single polaron hopping에 의한 것으로 생각한다. SP-계열과 BP-계열 유리에서 전기전도기구는 유리질의 무질서와 관련되는 장벽 호핑(CBH) 모델과 잘 일치하였다.

In the SP series of glasses, the formation of droplet is well done with increasing PbO. But in the case SP-1, droplet could not be observed in low concentration PbO. These results are considered that PbO does the role of a network modifier, so the crosslinking break down by $SiO_2$. But, in the glasses contained PbO above 50 mol%, glasses are formeddue to $Pb^{4+}$ ion does the role of a network former. As a result of electrical conductivity analysis for SP series of glasses, the electrical conduction is due to bipolaron at high temperature, and it is due to single polaron hopping at low temperature. In the SP series of glasses, electrical conduction mechanism coincide with the correlated-barrier hopping(CBH) model.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