협동학습에서 언어적 행동과 학습 변인들 사이의 관계 및 협동학습에 대한 중학생들의 인식

The relationships of verbal behaviors with learning variables in cooperative learning environments, and middle school students' perceptions of cooperative learning

  • 발행 : 2001.09.30

초록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 과학 수업에 협동학습을 실시하여 학생들 사이에서 발생하는 언어적 행동 유형을 범주화하고 이들과 학습 전략의 사용, 학습 동기, 태도 증진과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또한 협동학습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성취 수준별로 조사하였다. 협동학습 과정에서 나타나는 언어적 행동 유형들은 점검 및 조직화 전략의 사용이나 자아효능감, 과학 수업에 대한 태도의 증진과 많은 관련이 있었다. 협동학습에 대한 인식 조사 결과, 중위와 하위 수준 학생들은 전반적으로 협동학습에 대하여 긍정적으로 인식하였으나, 상위 수준 학생들에서는 부정적인 인식도 나타났다. 특히, 학습의 효과성 측면에 있어서 중위 및 하위 수준 학생들의 경우 동료와의 언어적 상호작용을 통해 학습 내용에 대하여 더 잘 알게 되었다는 인식이 많았던 것에 반해 상위 수준 학생들은 배웅의 깊이가 작다고 지적하였다.

In a 7th graders' cooperative science class, verbal behaviors were categorized and their relationships with the improvement of learning strategies used. motivation, and attitudes were investigated. Students' perceptions of cooperative learning were also studied by the achievement level. Verbal behaviors in cooperative learning were positively related with the improvement of monitoring and organization strategies used, self-efficacy, and attitude toward science class. In the analyses of students' perceptions of cooperative learning, medium- and low-achieving students had positive perceptions but some high-achieving students had negative ones. In the aspect of effectiveness of cooperative learning, especially, medium- and low-achieving students perceived that they could learn more and better due to verbal interactions with peers. To be contrary, high-achieving students perceived that they learned less and superficially.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