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eep Medicine and Psychophysiology (수면정신생리)
- Volume 8 Issue 2
- /
- Pages.113-120
- /
- 2001
- /
- 1225-7354(pISSN)
- /
- 2713-8631(eISSN)
Clinical Characteristic and Respiratory Disturbance Index as Correlates of Sleep Architecture in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s Diagnosed with Polysomnography
수면다원기록법으로 확진된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환자의 임상특성, 그리고 호흡장애지수와 수면 구조간의 상관관계
- Kim, Seog-Joo (Department of Neuropsychiatry,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
- Park, Doo-Heum (Department of Neuropsychiatry, Cheongju St. Mary's Hospital) ;
- Kim, Yong-Sik (Department of Neuropsychiatry,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
- Woo, Jong-Inn (Department of Neuropsychiatry,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
- Ha, Kyoo-Seob (Department of Neuropsychiatry,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
- Jeong, Do-Un (Department of Psychiatry,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and Division of Sleep Studies and Neuropsychiatry,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 김석주 (서울대학교병원 신경정신과) ;
- 박두흠 (청주성모병원 신경정신과) ;
- 김용식 (서울대학교병원 신경정신과) ;
- 우종인 (서울대학교병원 신경정신과) ;
- 하규섭 (서울대학교병원 신경정신과) ;
- 정도언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및 서울대학교병원 신경정신과 및 수면다원검사실)
- Published : 2001.12.30
Abstract
Objectives: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is common and may produce various symptoms and serious complications. A substantial number of research articles on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have been published in Korea. However, we found such limitations as lack of sufficient sample size and lack of polysomnography-proven cases. Therefore, we aimed at studying clinical features and sleep structure in a sufficient number of Korean patients with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diagnostically confirmed with polysomnography. Methods: We studied 801 subjects referred to the Division of Sleep Studies,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who were diagnosed as having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with polysomnography. Subjects were excluded if they had central sleep apnea syndrome, periodic limb movement disorder, narcolepsy or REM sleep behavior disorder. Foreign patients were also excluded. First of all, we studied the clinical features of the subjects. Secondly, we compared sleep-related parameters of the study subjects with those of age/sex-matched normal values. Thirdly, correlations of respiratory disturbance index (RDI) with each of the sleep-related parameters were calculated. Results: Among the 801 subjects, 668 were male subjects (83.4%) and 133 female subjects (16.4%). Their mean age was 46.6 years (
배 경 :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은 다양하고 심각한 임상 증상과 합병증을 유발하는 질환으로 국내에서도 흔히 진단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수면다원기록법을 사용해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을 확진한 환자들의 대규모 국내 연구를 찾아 볼 수 없었다. 본 연구에서는 종래의 연구에서보다 더 큰 집단을 대상으로 수면다원기록법을 사용해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으로 확진된 한국인 환자의 임상적 특성과 수면 양상에 관해 조사하였다. 방 법 : 서울대학교병원 수면다원검사실에 의뢰된 환자들 중 수면다원검사 결과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으로 진단된 환자 80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중추성 무호흡증, 주기성 사지운동증, 기면병, 렘수면관련행동장애, 그리고 외국인 환자는 제외하였다. 연구 대상 군의 임상적 특징을 조사하였으며 수면 변인들을 연령, 성별에 따른 정상치와 비교하였다. 그리고 호흡장애지수가 수면변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결 과 : 전체 연구대상자 801명 중 남자가 83.4%, 여자가 16.4%이었고 평균 연령은 46.6세였다. 평균 비만정도 지수는 25.8이었고 비만한 환자가 22.8%를 차지하였다. 전체 대상 중 6.2%가 벤조디아제핀계 약물을 복용 중이었다. 연구 대상군에서 정상치에 비해 입면잠복시간은 증가되었고 수면효율, 렘수면 분율, 그리고 서파수면 분율은 감소하였다. 서파수면 분율과 렘수면 분율은 각각 호흡장애지수와 음의 상관성을 보였으나 수면효율과 입면잠복시간은 모두 호흡장애지수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결 론 : 본 연구에서 다수의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환자가 비만과 무관하였다. 또한 6.2%의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환자가 벤조디아제핀계 약물을 복용하고 있었다.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의 발병은 수면효율도 낮추고 서파수면과 렘수면 분율을 감소시키나 호흡장애지수가 커져도 서파수면과 렘수면 분율이 감소할 뿐 수면효율은 별 다른 변화가 없었다. 즉, 수면효율보다는 수면 구조의 변화가 수면 중 호흡장애의 정도에 더 관련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