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y on the Long-Term Change of Water Quality of the Kumho River

금호강 수질의 장기변동에 관한 연구(II)

  • Bae, Zun Ung (Department of Chemistr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Lee, Sang Hak (Department of Chemistr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Lee, Sung Ho (Department of Food Science, College of Keimyung)
  • 배준웅 (경북대학교 자연과학대학 화학과) ;
  • 이상학 (경북대학교 자연과학대학 화학과) ;
  • 이성호 (계명문화대학 식품과학과)
  • Published : 20010200

Abstract

In order to study the long-term change of water quality, water analysis for 9 items was conducted at 13 sites surrounding the Kumho river system for 18 times from September 1993 to August 1999. Analytical items for the study of water quality are as follows; water temperature, pH, BOD, COD, DO, SS, electrical conductivity, oil and grease, ABS and phenol. The six year term was divided into Part I(second study) and Part Ⅱ(third study), which covers the term from September 1993 to August 1996 and the term from September 1996 to August 1999, respectively. The mean values obtained for three years for water temperature, pH, BOD, COD, DO, SS, electrical conductivity, oil and grease, ABS and phenol for the Part I period showed 18.4$^{\circ}C$, 7.9, 4.88 ppm, 9.66 ppm, 9.0 ppm, 618.0 umho/cm, 6.9 ppm, 2.63 ppm, 3.57 ppm and 0.98 ppm, respectively. The mean values obtained for water temperature, pH, BOD, COD, DO, SS, electrical conductivity, oil and grease, ABS and phenol for the Part Ⅱ period showed 18.0$^{\circ}C$, 8.0, 2.86 ppm, 7.40 ppm, 8.94 ppm, 541.0 umho/cm, 6.0 ppm, 5.43 ppm, 0.94 ppm and 0.01 ppm respectively. The values of BOD, COD, SS, electrical conductivity, ABS and phenol in the second period were found to be decreased by 1/1.71, 1/1.31, 1/4.15, 1/3.80 and 1/98, respectively. The values of water temperature, pH and DO were nearly constant. However, the concentrations of oil and grease were found to be increased about 2.06 times in the second period.

금호강 하천수의 수질오염 현황을 종합적으로 조사하기 위해 1993년 9월부터 1999년 8월까지 6년간 18회에 걸쳐 13개 지점에서 pH, BOD, COD, DO, SS, 전기전도도, 유지류, ABS와 페놀 등 총 9개 항목의 수질을 측정하였다. 6년간의 자료값은 분포가 넓으므로 각 3년 간 즉 1993. 9월부터 1996.8월까지(이하 Part Ⅰ기간으로 "2차 연구"라 한다.)와 1996. 9월부터 1999. 8월까지(이하 Part Ⅱ 기간으로 "3차 연구"라 한다. )자료로 세분화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전 조사지점에 대한 각 항목의 "2차 연구"와 "3차 연구"의 각 3년간의 평균값은 각각 다음과 같다. pH는 7.9, 8.0; BOD는 4.88ppm, 2.86ppm; COD는 9.66ppm, 7.40ppm; DO는 9.0ppm, 8.94ppm; SS는 6.9ppm, 6.0ppm; 전기전도도는 618.0umho/cm, 541.0umho/cm; 유지류는 2.63ppm, 5.43pm; ABS는 3.57ppm, 0.94ppm; Phenol은 0.98ppm과 0.01ppm이었다. 조사 기간 중인 "2차 연구"의 평균값을 기준으로 "3차연구" 결과에서 오염량의 변화는 다음과 같았다. BOD, COD, SS 전기전도도, ABS 와 페놀은 각각 1/1.71, 1/1.31, 1/4.15, 1/3.80 과 1/98로 감소하였으며, 수온, pH와 DO는 큰 변화가 없었다. 그러나 유지류는 2.06배의 오염증가를 보였다.

Keywords

References

  1. 학위논문집 대구 도시권 하천수의 수질오욤 현황과 수질보전대책 박영규
  2. 보건대학원 학위 논문집 금호강 유역의 수직, 토양 및 무우의 중금속 합량에 관한 연구 송승달
  3. 한국환경농학지 v.5 이정재;최정
  4. 세계 환경의 날 심포지움 금호강 유역의 오염원 특성에 관하여 강화신
  5. 세계 환경의 날 심포지움 금호강 수질 현황과 장래 이철희
  6. 세계 환경의 날 심포지움 금호강 유역 환경보전대책(하천유역의 보전방향) 이순탁
  7. 건설부 금호강 수질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보고서 박영규;이철희
  8. 계명대환경과학논집 v.1 no.1 이태관;박태규
  9. 한국환경과학회지 v.4 no.3 배준웅;서무룡;장혜영;송희봉;박태명
  10. 환경부고시 no.1998-146 수질오염공정시험법 환경부
  11.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of AOAC International AOAC
  12. 환경부 하천용도별 환경기준치 환경부
  13. 환경부 환경연감 환경부
  14. 한국환경과학회지 v.8 no.6 조기안;안병권;홍순강;정동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