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ipe-line 구조를 갖는 Video Encoder 구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Video Encoder Implementation having Pipe-line Structure

  • 이인섭 (원광대학교 전자공학과) ;
  • 이완범 (원광대학교 전자공학) ;
  • 김환용 (원광대학교 전기전자 및 정보공학부)
  • 발행 : 2001.09.01

초록

본 논문에서는 아날로그의 비디오 신호를 디지털로 부호화하는데 기존과 다른 파이프라인 방식을 사용하도록 하였다. 부호화기의 전체 동작을 화소 클럭비에 따른 파이프라인 구조로 설계하여 각 하위 블록들의 동작 타이밍을 확보하여 시스템을 안정화시켰으며 고정된 계수와 곱셈의 경우 기존의 ROM 테이블 또는 곱셈기 방식을 사용하지 않고 쉬프트와 덧셈기 방식으로 설계함으로써 시스템의 복잡도를 줄이며 논리 게이트 수를 15%줄이는 효과를 보였다. 설계된 부호화기는 각각의 하위 블록으로 나누어 VHDL로 설계하였고, Max+plusII를 이용한 FPGA로 동작 확인을 하였다.

In this paper, it used a different pipeline method from conventional method which is encoding the video signal of analog with digital. It designed with pipeline structure of 4 phases as the pixel clock ratio of the whole operation of the encoder, and secured the stable operational timing of the each sub-blocks, it was visible the effect which reduces a gate possibility as designing by the ROM table or the shift and adder method which is not used a multiplication flag method of case existing of multiplication of the fixed coefficient. The designed encoder shared with the each sub-block and it designed the FPGA using MAX+PLUS2 with VHDL.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