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ynamic VBR traffic characterization for video service in ATM network

ATM 망에서 비디오 서비스를 위한 동적 VBR 트래픽 특성화

  • 황재철 (광운대학교 전자공학과 대학원) ;
  • 조미령 (광운대 일반대학) ;
  • 이상원 (광원대학교 대학원 전자공학) ;
  • 이상훈 (광운대학교 전자공학부)
  • Published : 2001.04.01

Abstract

This paper is focused on the traffic characterization for the efficient transmission of the VBR video source in the ATM network. For the traffic characterization, low traffic monitoring technique is applied and the dynamic VBR characterization method is suggested to satisfy the delay requirement. The dynamic VBR method uses the token bucket algorithm buffering though Cumulative Constraint Function. According to the Cumulative Constraint Function, the packet initially started transferring at the peak rate and the token bucket provided proper amount of buffer for traffic after a certain period of monitoring. It also reduced the network resource bandwidth through renewal of the cumulative frame and changed the rate from the previous frame information. It requires only small amount of monitoring and causes little overhead. In addition, it lowered the complexity of Deterministic Constraint Function to 0(n) and mapped the token rate and token depth to the token bucket. This study shows less network resource consumed than the previous method, comparing and analyzing the result of simulations.

본 논문에서는 ATM상에서의 효율적인 VBR 비디오 소스 전송을 위한 트래픽 특성화를 다루었다. 트래픽 특성화를 위하여 전송 중 트래픽이 적은 모니터링 기법을 사용하였고 지연 요구사항을 만족시키는 동적 VBR 특성화 방식을 제안하였다. 동적 VBR 방식은 누적 제한 함수 (Cumulative Constraint Function)를 이용한 토큰 버킷 알고리즘 버퍼링을 사용하였다. 누적 제한 함수는 초기에는 peak rate로 전송을 시작하여 일정시간 동안 모니터링 한 후, 다음 트랙픽을 예측하여 적절한 버퍼를 제공하였다. 누적 프레임의 갱신을 통하여 네트워크 자원 예약량을 감소시켰고 이전 프레임 정보를 가지고 rate를 변경시켰다. 이는 적은 모니터링을 하며 오버헤드도 적다. 그리고 이전의 결정적 제한 함수 (Deterministic Constraint Function)의 복잡도를 0(n) 까지 낮추었고, 토큰 버킷의 토큰 rate와 토큰 depth를 구하여 매핑 하였다. 본 논문은 시뮬레이션을 통한 결과치를 비교 분석하여 이전의 방식보다 적은 네트워크 자원이 소모되는 것을 보여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