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ccurrence of Hull Dehydration of Rice in Honam Plain Area in 1998

호남평야지에서 1998년 벼알마름 현상 발생

  • Sang-Su Kim (National Honam Agricultural Experiment Station) ;
  • Bong-Kyu Park (National Honam Agricultural Experiment Station) ;
  • Min-Gyu Choi (National Honam Agricultural Experiment Station) ;
  • Weon-Young Choi (National Honam Agricultural Experiment Statio) ;
  • Nam-Hyun Back (National Honam Agricultural Experiment Station) ;
  • Won-Ha Yang (National Crop Experiment Station) ;
  • Jeong-Taek Lee (National Institute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 Published : 2001.09.01

Abstract

The hull dehydration in dough stage did not serious affect the rice yield though grain appearance texture may decline by severe occurrence of the symptom. As to white head in heading stage of rice, the occurrence of hull dehydration in 1998 was directly affected by high temperature, low air humidity and sometimes of strong wind and sunshine in early September. At harvest stage, 1,000-grain weight of brown rice was not found to b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hull dehydrated grains and normal ones. That reason can be considered that the hull dehydration occurred hill was not injured on the leaf and rachis branches therefore the function of assimilation and translation of rice plant was not affected. The ratio of imperfect rice kernel such as green, cracked and white belly increased. The increase of cracked rice by the hull dehydration may caused by concurrent dehydration of kernel, or by insufficient water supply into kernel due to breaking of vascular bundles in glume.

1998년 9월에 호남평야지에서 호숙기 전후의 벼가 벼알이 흰색으로 탈색되며 마르는 현상이 보고되어 현지에서 그 증상을 관찰하고, 벼알마름의 원인과 벼알마름에 따른 수량 및 미질 변화를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벼알마름 현상 발생원인은 9월 1일부터 9월 6일까지는 강풍은 불지 않았으나 기온이 높고 대기의 습도는 전북 35~56%,전남 35~51%로 매우 건조하였으며 9월 9일~9월 14일에는 최고기온 30~33$^{\circ}C$(전북 9월 9일, 전남 9월 12일)의 이상고온과 함께 최저습도가 전북 36%(9월 4일), 전남 37%(9월 14일)로 매우 건조한 상태이고 일조도 강하였기 때문에 벼알마름 증상이 발생되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벼알마름 증상은 정상적으로 등숙하던 호숙기 경의 벼가 주로 벼이삭의 상위에 부착된 1차지경의 벼알이 탈수, 퇴색되었으며 한 벼알에서도 직사광선을 받는 위 부분에서 심하였다. 탈수된 벼알도 벼알마름 발생 후 1주일경인 9월 16일 조사당시까지 계속 등숙이 진행되고 있었고 탈수된 벼알이 붙어있는 소지경과 1, 2차 지경은 탈수되지 않고 정상이었다. 완숙기의 현미천립중은 정상립이나 벼알마름립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벼알마름립은 정상립보다 동할미와 복백이 많아 불완전립 비율이 높았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