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개간 산지토양에서 초지조성 비종별 목초의 생산성 및 품질 비교 II, 목초 중 무기양분 및 일반성분의 함량과 양분수량

Effects of the Application of Different Fertilizers on the Forage Productivity and Quality on Newly Reclaimed Hilly Soil II. Changes in the contents and yields of mineral and general components

  • 정연규 (순천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
  • 임요섭 (순천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 발행 : 2001.03.01

초록

신개간 산지초지의 정착, 목초의 수량제고 및 품질향상 등에 미치는 초지조성비 비종별 시비효과를 구명하고, 초지조성 및 유지관리에 비효가 높은 적합한 비료를 선택하고자 미개간 산지토양을 공시한 pot 시험으로 기초실험을 수행하였다. 공시된 초지 조성비 3요소 비료처리구는 1) 무비구, 2) 요소-중과석-염가, 3) 요소-용성인비-염가 및 4) 3종 복비로 하였다. 본보에서는 무기양분 및 일반성분의 함량 및 양분수량(탈취량)을 검토하였다. 1. 무기양분의 함량에서는 복비구가 orchardgrass, ladino clover 및 이들의 혼합목초 공히 N, P. Ca, Mg, Na 함량이 중과석 및 용인구보다 상대적으로 높았다. 초종별 무기양분 수량(발취량)은 일반적으로 3종 복비>용인>중과석 시비주 순으로 높았고, ladino clover와 혼합목초에서 3종 복비 시비효과가 더 크게 나타났다. 2. 일반성분 함량은 3종 복비 시비구가 각 구성 초종 공히 조단백질 및 조회분 함량이 중과석과 용인구보다 높았으며. 각 일반성분의 양분수량은 구성 초종에서 ladino clover 및 혼합목초에서는 3 종 복비구가 월등히 높았다. 반면에 orchardgrass 목초에서는 비종에 따라 다소 차이를 보였다. 일반적으로 3종 복비>용인>중과석 시비구 순으로 건물수량, 양분 함량 및 양분수량 등에서 양호한 특성을 보였다.

This pot experiments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forage productivity and quality in a grass/clover sward as affected by the application of three different fertilizers; double superphosphate(DS), fused Mg-phosphate(FP), and complex fertilizer(CF) on newly reclaimed hilly soil. This 2nd part was concerned with the contents and yields of mineral nutrients and general components.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concentrations of P, Ca. Mg, and Na by the forage species were relatively higher in the CF plots than in the FP and DS plots. The yields of mineral nutrients by the forage species were high in the order: CF>FP>DS plots. Especially. these were higher in the ladino clover and mixed forages than in orchardgrass. 2 The contents of crude protein and crude ash were highest with the CF plots, compared with the FP and DS plots. The yields of general components in the ladino clover and mixed forages were apparently highest with the CF plots. whereas these in orchardgrass not showed consistent differences among the plots. It was recognized that the positive effects on the concentrations and yields of mineral nutrients and general components in forages were higher in the order: CF>FP>DS plot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