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resent Status of GIS Master Plans implemented by Municipal Government and Strategy for Reforming them in Korea

우리 나라 지자체의 GIS 기본계획 수립현황과 개선방향

  • Published : 2001.06.01

Abstract

We are living in the 21st century when a society is highly information-oriented and the demand for information has rapidly increased. So the information standard of local government has become an index of economic development of local society. GIS has emerged as a new national information infrastructure with which a society can manage and analyze spatial information. Accordingly, many local governments have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GIS and are establishing master plan for an efficient GIS development necessary to implement GIS technology in many aspects of information management. So this study analyzed the present status and problems of master plan made by local governments and proposed a guideline for improving GIS master plan on a basis of it.

우리는 사회가 고도로 정보화되고 정보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21세기에 살고 있다. 따라서 각 지역사회의 정보화 수준은 지역발전의 지표가 되고 있으며, GIS는 공간정보를 관리·분석할 수 있는 새로운 국가정보기반으로 부각되었다. 따라서, 많은 지자체들이 GIS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GIS 기술을 사용하여 여러 업무분야에 활용하고자 효과적인 GIS구축을 위한 기본계획을 수립 중에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각 지자체의 G3S 기본계획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GIS 기본계획 수립의 개선방향을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제 1차 국가지리정보구축기본계획 국가 GIS 추진위원회
  2. 제 2차 국가지리정보체계추진계획 건설교통부
  3. 지하시설물도 전산화사업 성과분석연구 최윤수
  4. GIS 구축현황(지방자치단체 및 시설물관리 기관 포함) 건설교통부
  5. 공공 GIS 구축현황과 추진전략 : 지자체 UIS(도시정보시스템) 사업, 활성화 방안 강영옥
  6. 일본 지방 자치단체의 GIS도입 매뉴얼 건설교통부
  7. 성남시 도시종합정보시스템 구축 기본계획 성남시
  8. 수원시 지리정보시스템 기본계획 수원시
  9. 안산시 도시기반시설물관리 정보화전략계획 수립 보고서 안산시
  10. 인천광역시 지역정보화 기본계획 인천광역시
  11. 전주시 도시종합정보시스템 구축 기본계획 전주시
  12. 포항시 GIS 기본계획 수립 연구 포항시
  13. ISO/TC211 Semimar, Kyoto Key points for GIS implementation in local government Teruko Usui
  14. 도로관리시스템 사업개요 일본 재단법인 도로관리센터 동경지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