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ositional Accuracy Quality Assessment of Digital Map Generalization

수치지도 일반화 위치정확도 품질평가

  • 박경식 (충북대학교 토목공학과) ;
  • 임인섭 (충북대학교 토목공학과) ;
  • 최석근 (대구미래대학 지적토목과)
  • Published : 2001.06.01

Abstract

It is very important to assess spatial data quality of a digital map produced through digital map generalization. In this study, as a aspect of spatial data quality maintenance, we examined the tolerate range of theoretical expectation accuracy and established the quality assessment standard in spatial data for the transformed digital map data do not act contrary to the digital map specifications and the digital map accuracy of the relational scale. And, transforming large scale digital map to small scale, if we reduce complexity through processes as simplification, smoothing, refinement and so on., the spatial position change may be always happened. thus, because it is very difficult to analyse the spatial accuracy of the transformed position, we used the buffering as assessment method of spatial accuracy in digital map generalization procedure. Although the tolerated range of generic positioning error for l/l, 000 and l/5, 000 scale is determined based on related law, because the algorithms adapted to each processing elements have different property each other, if we don't determine the suitable parameter and tolerance, we will not satisfy the result after generalization procedure with tolerated range of positioning error. The results of this study test which is about the parameters of each algorithm based on tolerated range showed that the parameter of the simplification algorithm and the positional accuracy are 0.2617 m, 0.4617 m respectively.

수치지도 일반화 과정을 통해 생성된 수치지도의 공간데이터에 관한 품질을 평가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공간데이터 품질유지 측면에서, 변환된 수치지도 데이터가 해당 축척의 수치지도 규정 및 정확도에 위배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이론적 기대정확도의 허용범위를 살펴보고 공간데이터의 품질 평가 기준을 정립하였다. 그리고, 대축척 수치지도를 소축척 수치지도로 변환할 때, 단순화, 완만화, 정리 등과 같은 처리과정을 통해 복잡성을 감소시키게 되면 공간적인 위치변화는 항상 발생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각 지점의 변환된 위치에 관한 공간정확도를 분석하는 것은 매우 힘든 일이기 때문에 평가방법으로서 버퍼링기법을 이용하였다. 비록 축척 1/1,000 및 l/5,000에 대한 일반적인 위치오차의 허용범위는 관련법규를 기준으로 결정되었다 하더라도, 각 처리요소에 적용된 알고리즘들은 서로 다른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알고리즘에 따라 적절한 매개변수와 허용오차를 결정하지 않는다면, 일반화 처리후의 허용범위를 만족할 수 없을 것이다. 허용범위에 근거를 둔 각 알고리즘의 변수에 관한 본 연구에서의 실험결과는 단순화 및 위치오차의 매개변수가 각각 0.2617 m, 0.4617 m를 나타내고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대축척 수치지도의 소축척 변환 연구(I) 박경열;최석근
  2. 수치지도작성작업내규 건설부 국립지리원
  3. 공공측량 작업규정 해석과 운용 일본측량협회, 건설성
  4. Quality System Specification Ordnance Survey
  5. The Geographical Magazine v.42 no.2 Rules for the Robot Draughtsmen Lang, T.
  6. The Canadian Cartographer v.10 no.2 Algorithms for the Reduction of the Number of Points Requried to Represent a Digitized Line or Its Character Douglas, D.H.;Peucker, T.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