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curacy Analysis of GPS Absolute Positioning

GPS 절대측위 정확도 분석

  • 강준묵 (충남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공학과) ;
  • 김욱남 (신구대학 지적과) ;
  • 박정현 (충남대학교 대학원 토목공학과) ;
  • 이은수 (충남대학교 대학원 토목공학과)
  • Published : 2001.03.01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is to know the GPS absolute positioning accuracy after discontinuing of Selective Availability (SA). The GPS satellite clock errors and the observation station coordinates were calculated using GPS C/A code pseudorange and compared with the JPL precise ephemerides and the previous known coordinates. As the results, the correction or the GPS clock errors in SA-on is about $\pm$40m but in SA-off $\pm$2m. The 95% probable errors for the measurements in SA-on are about $\pm$65m but in SA-off $\pm$10m in X, Y and SA-off $\pm$15m in Z.

본 연구는 SA가동 중단 후 GPS절대 측위 정확도의 향상 정도를 파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SA가동 중단 전후의 GPS C/A코드 의사 거리를 이용하여 위성 시계 오차량과 관측점 좌표를 산출하였으며, 이를 JPL 정밀궤도력에 포함되어 있는 위성 시계 오차량 및 관측점의 기지성과와 비교하였다. 비교 결과, GPS 위성 시계 오차 보정량은 SA가동시 약 $\pm$ 40m폭으로 변동을 보인 반면, SA중단 후 $\pm$2m이내로 급격히 감소되었음을 알 수 있었으며, 3차원 좌표성과에 대한 95% 확률오차는 SA 가동시 약 $\pm$65m 였으나, 가동 중단후 X. Y는 약 $\pm$10m, Z는 약 $\pm$15m로 GPS 절대 측위 정확도가 상당히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GPS Satellite Surveying(2nd Edition) Alfred Leick
  2. Global Positioning System Theory and Practice(Thrid, revised edition) B. Hofmann-Wellenhof;H. Lichtenegger;J. Collins
  3. Navstar GPS Space Segment/Navigation User Interfaces ARINC Research Corporation
  4. Satellite Geodesy : Foundations, Methods, and Applications Gunter Seeber
  5. 제3차 96 GPS Workshop proceedeings Current Status of GPS 임형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