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provement Performance of Truncated Type-II Hybrid ARQ Scheme and MRC Diversity Techniques using an Adaptive Modulation in DS -CDMA Cellular Mobile Communication System

DS-CDMA 셀룰라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적응변조방식을 이용한 Truncated Type-II Hybrid ARQ 방식과 최대비 합성 다이버시티 기법에 의한 성능 개선

  • 양재훈 (동신대학교 전기전자공학부) ;
  • 김지웅 (동신대학교 전기전자공학부) ;
  • 강희조 (동신대학교 전기전자공학부)
  • Published : 2001.07.01

Abstract

This paper proposes a Truncated Type-II Hybrid ARQ scheme using an adaptive modulation system to achieve high throughput data transmission systems for DS-CDMA cellular mobile communication systems. In this paper, the adaptive modulation system analyzed in Nakagami (m-distribution) fading channel environment. The adaptive modulation system controls the modulation level and symbol rate according to the Nakagami fading parameter( m). When the received Eb/No is high or the Nakagami fading parameter m is high, the propose system selects higher modulation level and higher symbol rate to increase throughput. On the other hand, this system selects lower modulation level and lower symbol rate to prevent throughput performance degradation when the received Eb/No is low. The modulation method have been adopted QPSK 16QAM, 64QAM, 256QAM. Therefore, adaptive modulation systems with Truncated Type II Hybrid ARQ Scheme is proper for mobile and radio data communication system that require high reliability and delay-limited applications.

본 논문에서는 DS-CDMA 셀룰라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고속의 전송데이터를 전송할 시스템을 이루기 위해 적응변조 방식을 적용한 Truncated Type-II Hybrid ARQ 방식을 제안했다. 여기서, 나카가미 페이딩 채널 환경으로 적응변조 방식을 해석하였다. 적응변조 시스템은 나카가미 페이딩 지수에 따라서 변조 레벨과 심볼율을 제어할 수 있다. Eb/No가 높거나 나카가미 페이딩 지수 m이 높을 경우 이 시스템은 높은 변조 레벨과 높은 심볼율을 선택하여 전송 효율을 증가시키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반대로, $E_b/N_0$가 낮을 경우, 전송 성능 감소를 막기 위해 낮은 변조 레벨과 낮은 심볼율을 선택한다. 변조 방법으로는 QPSK 16QAM, 64QAM, 256QAM을 채용하였다. Truncated Type-II Hybrid ARQ 기법에 의한 적응변조 방식은 실시간 (delay-limited)처리 및 고신뢰도가 요구되는 이동 통신 및 무선 데이터 통신 시스템에 적용이 가능하리라 판단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