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산과 광릉지역의 잣나무림에서 낙엽분해과정에 관련된 날개응애 군집분석

Community Analysis of Oribatid Mites (Acari : Oribatida) in the Process of Needle Leaf Decomposition in Korean Pine (Pinus koraiensis) Forest of Namsan and Kwangreung

  • 배윤환 (대진대학교 생명과학과)
  • 발행 : 2001.12.01

초록

주변환경의 오염에 의한 스트레스를 받는 정도가 다른 남산과 광릉의 잣나무림에서 낙엽주머니 (mesh size :남산 1.7mm, 광릉 0.4mm, 1 7mm)방법을 이용하여 낙엽의 분해과정에 관련된 날개응애 군집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각 조사구에서 2년에 걸쳐 총 11회 수거한 낙엽주머니에서 조사된 날개응애 종 수는 30종을 초과하지 않았고, 남산과 광릉의 mesh size 1.7mm에서 조사된 종 수는 광릉이 남산에 비해 유의성있게 높았다(paired t-test, p<0.05), mesh size가 다른 광릉 지역의 낙엽주머니간에는 종수의 차이가 없어 남산,광릉 두지역간의 종수 차이만이 인정되었다. 낙엽주머니내 날개응애 체장 분포 및 체장별 밀도 패턴은 세 조사구에서 중형종(0.3-0.7mm미만)이 다수 출현했고, 밀도가 높은 종은 광릉에서는 체장이 0.2-0.5 mm 사이의 종들이, 남산에서는 이들 조사구들보다 조금 더 큰 종들에서 높은 밀도를 보였다. S renson 지수 및 Cluster analysis를 이용한 조사구 날개응애 군집의 정성적, 정량적 분석은 두 지역의 날개응애 군집이 종 구성에 있어 다른 그룹이라는 것을 제시했다. 낙엽주머니내 날개응애 종들의 출현은 20종 미만의 종들이 5월에서 9월 사이에 출현하였는데, 1년차와 2년차간에 출현 패턴에는 다소 변화가 있었다. 낙엽주머니내 날개응애 유입은 1년차에는 5월부터 다수의 새로운 종들이 이입되었지만, 2년차에는 새로운 종의 유입은 미미한 반면 1년차에 이입했던 종들의 재차 유입이 일어났고, 유입시기도 빨라졌다. 낙엽주머니내 날개응애군집의 종 다양도 분석에는 종 풍부도지수, Shannon 지수, 균등도 지수가 사용되었고, 이들 세 가지 다양도 지수의 값이 모두 광릉이 높고 남산이 낮은(mesh size 1.7mm>광릉 mesh size 0.4 mm>남산 mesh size 1.7 mm) 일관된 경향을 나타냈다. 이는 날개응애 군집의 종 다양성은 광릉지역이 남산지역에 비해 더 높다는 결론을 도출할 수 있는 것이었다. 낙엽주머니내 출현종의 우점종과 출현빈도 분석결과, 각 조사구의 우점종들은 전체 밀도의 70%이상을 차지하고 있어 비중이 매우 높은 것들로 나타났고, 최고 우점종은 mesh size 1.7mm의 남산과 광릉 조사구에서 Tricho-galumna nipponica로 동일했고, 광릉 mesh size 0.4 mm에서는 이 종보다 크기가 작은 Ramusella sengbuschi가 최고 우점종이었다. 그리고 낙엽주머니내에 밀도와 출현빈도가 높아 낙엽분해에 직,간접적으로 크게 관여하는 날개응애 종들로는 Tricogalumna nipponica, Epidamaeus coreanus, Scheloribates latipes, Ceratozetes japonicus, Ramusella sengbuschi, Eohypochthonius crassisetiger, Cultroribula lata 등을 선발할 수 있었다.

Oribatid mite communities in the process of litter decomposition were analyzed In Korean pine (Pinus koraiensis) forests of Namsan and Kwangreung, which were supposed to be under different environmental selective pressures. Oribatid mites were collected bimonthly from the litter bags (mesh size 0.4 mm, 1.7 mm) which was set up in the forest floor of study sites. This study had been carried out from Jan., 1997 to Sept., 1998. Species abundance of Kwangreung (mesh size 1.7 mm)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Namsan (mesh size 1.7 mm), but total no. of species did not exceed 30 species in all study sites. Concerning body length, medium sized oribatid mites (0.3-0.7mm) were more abundant than small ( < 0.3 mm) and large ( > 0.7 mm) sized mites. In Kwangreung, species whose body lengths were 0.2 mm to 0.5 mm were major group. However, a little larger species than Kwangreung's major group were dominant in Namsan. Sorenson similarity index and cluster analysis suggested that there wer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differences in species composition in Namsan and Kwangreung. More species were collected in May through September than the other sampling times, but the pattern was rather different between first year and second year. Newly immigrant species were high in May in the first year and many of them regained on next year. Diversity indices suggested that species diversity of Kwangreung was higher than that of Namsan. Nearly 70% of total individual abundance was occupied by several dominant species in Namsan and Kwangreung . In the litter bags of mesh size 1.7 mm, the most dominant species was Trichogalumna nipponica in Namsan and Kwangreung, but in the litter bags of mesh size 0.4 mm in Kwangreung it was Ramusella sengbuschi which is smaller than T. nipponica. And important species related to litter decomposition were selected as follows; T. nipponica, Epidamaeus coreanus, Scheloribates latipes, Ceratozetes japonicus, Ramusella sengbuschi, Eohypochthonius crassisetiger, and Cultroribula lata.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