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남해안에서 정치망 어구의 고정용으로 사용되고 있는 닻가지(fluke)가 하나인 스톡형닻(A형), 닻가지 2개가 한 방향으로 달려 있는 스톡형닻(B형), 닻가지 2개가 좌우로 달려 있는 스톡형닻(C형) 세가지의 모형을 제작하여 들의 종류(펄, 모래, 모래펄)와 닻줄의 길이(수심의 2배, 2.5배, 3배, 3.5배, 4배)에 따른 모형별 장력, 파주력, 파주력계수를 비교 분석하였다. 모형실험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장력과 파주력은 저질별로는 펄에서 가장 크고, 모래펄, 모래 순으로 작아진다. 닻줄의 길이에 따라서는 닻줄이 길어질수록 장력과 파주력이 커지는 현상을 보였고, 닻의 종류별로는 B형이 가장 크고, A형, C형의 순으로 나타났다. 2. 닻가지의 단위면책당 파주력은 닻줄이 짧을 때는 A형이 가장 크고, 길 때는 A형과 B형이 거의 비슷하며, C형은 모든 길이에서 A형과 B형에 비하여 거의 절반 수준이었다. 3. 파주력계수는 펄에서 가장 크고, 모래펄, 모래 순이며, 닻의 종류별로는 A형이 가장 크고, B형, C형의 순으로 나타났다. 4. 정치망 고정용 닻의 성능은 조류방향이 항상 일정한 어장에서는 A형이 우수하며, 이상조류가 발생하는 어장에서는 B형이 어구의 안정적인 고정을 위하여 우수할 것으로 판단된다.
A series of experiment i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holding power of the existing anchors used in the stationary gear in the coast of the South sea. The experiment apparatus is made of the pulling machine, the load cell, the personal computer and three water tanks the bottom of which are mud, sand and m & s respectively. The result obtained are as follows : 1. On the tension and holding power of the existing anchors, B-type of the stock anchor with two fluke shows the greatest and gets smaller on order of A-type one with a fluke. The holding power of the anchors shows the greatest in the mud and gets smaller in order of m & s, sand. And, the holding power depending upon the length of anchor rope increase as the length does up to the 4 times of depth. 2. On the holding power per fluke area of the existing anchors in case of ration of length of anchor rope to depth is 2, 3 and 4, A-type anchor shows about 310-320 kg/m supper(2), 470-480 kg/m supper(2), 590-640 kg/m supper(2) respectively, B-type one 260-265 kg/m supper(2), 390-450 kg/m supper(2), 630-700 kg/m supper(2) respectively, and C-type one 70-100 kg/m supper(2), 150-180 kg/m supper(2), 210-270 kg/m supper(2) respectively. The holding power per fluke area of the anchors increase as the length of anchor rope does. 3. On the coefficient of holding power of the existing anchors, A-type anchor shows the greatest and gets smaller in the order of B-type one, C-type o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