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awning, Hatching, Survival and Cannibalism of Octopus ocellatus

주꾸미 (Octopus ocellatus)의 산란과 부화, 생존 및 공식

  • 김병균 (국립수산과학원 부안수산종묘시험장) ;
  • 정의영 (군산대학교 해양생명과학부) ;
  • 전제천 (국립수산과학원 부안수산종묘시험장) ;
  • 정치홍 (서해수산연구소 군산분소)
  • Published : 2001.12.01

Abstract

Spawning, hatching, survival and cannibalism of the octopus, Octopus ocellatus, were investigated at the indoor laboratory. The specimens were collected in the coastal waters of Puan, Korea, from March 2000 to May 2001. Changes in the gonadosomatic index (GSI) during March to May, 2000 were similar to those in 2001. The GSI began to increase in March and reached the maximum in May 2000 and 2001. The mean fecundity of adult individuals in April was larger than those in March and May in 2000 and 2001. In the investigations of survival rates of adults according to the water layers, the mean survival rate in the middle water layer was higher than that in the bottom layer in year 2000 (p = 0.002). The survival rate during 2001 was similar to the result of year 2000 in the water layers (p = 0.018). From the investigations with the purchase dates, the survival (88.8%) in the early spawning period (April 10, 2000) showed larger than those in the mid-spawning (May 11, 2000) and the late spawning (May 23, 2000). For aquaculture, it is suggested that the purchase timing of adults in the early spawning period will have a better result than that of the other spawning periods. In the amount of spawning with water layers, the number of eggs spawned of the adults in the middle layer were larger than those in the bottom layer. In the number of eggs spawned with the purchase dates, the number of eggs spawned in the early spawning period were larger than those in the middle and late spawning periods. The size of eggs spawned were 6.904$\times$2.520 mm. the hatching period required (from spawning to hatched larvae) was 55 days (April 17 to June 7,2000) at water temperatures of 11.2 to 21.1$^{\circ}C$. In case of the hatching rates with water layers, the hatching rate in the middle water layer was larger than that in the bottom one (p = 0.004).

전라북도 부안 연안에서 채집된 주꾸미 (Octopus ocellatus)의 산란과 부화, 생존 및 공식에 관하여 조사하였다. 주꾸미 어미의 생식소중량지수 (GSI) 는 2000년과 2001년도 모두 비슷하였고, 3월부터 증가되기 시작하여 5월에 최대값을 나타내었다. 평균 포란량은 2000년과 2001년도 모두 3-5월 조사에서 4월이 3월과 5월보다 더 높았다. 주꾸미 어미의 수층별 생존을 조사에서는 2000년도에 중층의 평균 생존을 (88.8%)이 저층 (79.3%)보다 높았고 (p = 0.002), 2001년도에도 중층의 생존율이 저층보다 높았다 ( =0.018). 구입시기별 조사에서는 산란초기 (4월 10일)의 생존율 (87.0%)이 산란중기 (5월 11일) 및 산란후기 (5월 23일) 보다 생존율이 높게 나타나 산란초기에 어미를 구입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수층별 산란량 조사에서도 산란단지 당 산란량은 중층이 저층에서 보다 더 많았고, 구입시기별 산란량 조사에서는 산란초기 (2000년 4월 10일) 가 산란중기 (2000년 5월 11일) 와 산란후기 (2000년 5월 23일)보다 산란량이 많은 것으로 확인되어, 어미 주꾸미를 산란초기에 구입하는 것이 보다 좋을 것으로 사료된다. 산란된 난의 크기는 6.904 $\times$ 2.520 mm이었다. 난발생시의 수온인 11.2-21.1$^{\circ}C$ (적산수은: 892$^{\circ}C$)에서, 부화기간 (2000년 4월 17일에서 6월 7일)은 55일이 소요되었다. 수층별 부화율은 중층이 저층보다 높게 나타났다 (p = 0.004). 어미구입 시기별 산란단지 당 부화율은 산란초기와 산란중기가 산란후기보다 부화율이 높았다. 산란단지 내에서 부화는 어미가 있는 실험구 (여과해수사육)에서 부화율이 82.1%로 가장 높게 나타나 부화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부화기간 중의 난 관리를 위해 어미 주꾸미가 산란단지내에 있도록 하고 여과해수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좋은 조건이라고 사료된다. 먹이별 어린 주꾸미 사육 시험은 Artemia 공급구에서 생존율 (21.6%) 이 가장 양호하였고, 공식 방지 효과조사를 위한 은신처별 사육시험에서는 굴수하연 수하구에서 생존율(15.7%) 이 가장 양호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