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elopment of a Micro-Simulator Prototype for Evaluating Adaptive Signal Control Strategies

교통대응 신호제어전략의 평가를 위한 미시적 시뮬레이터의 원형 개발

  • 이영인 (서울시립대학교 건축도시조경학부) ;
  • 김이래 (현대정보기술(주) SI2사업부)
  • Published : 2001.12.01

Abstract

Micro-simulation models have been recognized as an efficient assessment tool in developing traffic signal control technologies. In this paper a prototype of a microscopic simulation model which can be applied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raffic-adaptive signal control strategies was developed. In the simulation process, space-based arrays were appled to estimate parameters of car following and lane changing models. Two levels of link types, a micro-type and macro-type links, were also embodied in the simulation process. The proposed model was tested on a test network consists of 9 intersections.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model was evaluated in link by link comparisons with the results of NETSIM. The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model could appropriately simulate traffic flows of the test network. The model also produces traffic adaptive signal timings, cycle lengths and green times for turning movements, based on the detector data. It implies that the optimization process of the model produces reasonable signal timings for the test network on the cycle basis.

본 연구에서는 국내 일부지역에 운영중인 첨단신호제어시스템(COSMOS)의 효율성을 평가할 수 있는 미시적(microscopic), 모의실험기(simulator)의 원형(prototype)을 개발하였다. 이 모의실험기의 개발은 원형적인 형성을 목표로 차량의 이동방식과 모듈적용체계 그리고 첨단신호알고리즘 중 독립교차로 실시간제어의 기능을 개발모형의 범위로 하였으며 구체적인 개발 사항은 다음과 같다. 첫째로, 기본적인 차량진행 외에 부가적인 첨단신호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 검지기 체계를 통한 자료수집 및 지역제어기 그리고 센터시스템의 알고리즘의 수행이 필요하므로, 미시적 시뮬레이터의 가장 큰 문제점인 연산속도의 문제는 더욱 대두된다. 따라서 이러한 점을 개선할 수 있도록 소프트웨어적인 측면에서 차량의 이동방식을 공간중심방식으로 구성하여 진행시킬 것과 링크별로 각 수행모듈을 합리적으로 적용하도록 제안하였다. 그리고 차량추종 및 차로변경의 모형의 적용을 포함한 링크의 이원화 적용 제안이 타당한지를 평가하기 위하여 NETSIM모형과 비교를 실시하였다. 둘째로, 이러한 모의실험기의 구조를 기초로 개별차량의 검지자료 수집과 매 주기마다 주기 및 녹색시간을 결정하는 독립교차로 실시간 제어 알고리즘의 구현으로 첨단신호제어의 전략을 평가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독자적인 모의실험기로 발전할 수 있도록 Animation 기능과 다양한 효과척도를 산출하여 종합적인 연구를 수행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교통신호제어 시스템 기술개발(3차년도) 모의 실험기 개발 보고서 임평남 외
  2. 한국시뮬레이션학회 과포화 교통상태에의 적용을 위한 시뮬레이션 모형 개발 안계형
  3. 미시적 시뮬레이션 모형을 위한 차령추종 모형의 개발 최승석
  4. 도시교통류 미시적 시뮬레이션 모형의 개발 이영인
  5. 교통공학 원론(상) 도철웅
  6. The Practice of Programming Brian W.Kernighan;Rob Pike
  7. FHWA Traffic Software Integrated System User's Guide(ver4.2) and ITRAF User's Guide(ver2.7)
  8. INTERGRATION Release2.10 for WINDOWS:User's Guide-Volume Ⅰ:Fundamental Model Features M.Van Aerde
  9. Department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A Simulation Laboratory for Evaluation of Dynamic Traffic Management Systems Qi Yang
  10. physica A.Copyright Two lane traffic simulations using cellular automata M.Rickert;K.Nagel;M.Schrekenberg;A.Latour
  11. appear in:Annual Review of Computational PhysicsⅦ Large-scale traffic simulation planning Kai Nagel;Jorg Esser;Marcus Rickert;Dietrich Stauffer
  12. Concise Encyclopedia of Traffic & Transportation Systems Markos Papageorgiou
  13. Department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Modeling Drivers'Acceleration and Lane Changing Behavior Kazi Iftekhar Ahmed
  14. TRB SPECIAL REPORT 165 Traffic Flow Theory C.J.Messer et al.
  15. TRB. Analysis of Stability and Performance of Car-following Models in Congested Traffic Aycin;Benekohal
  16.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1194 CARSIM:Car-following Model for Simulation of Traffic in Normal and Stop-and-Go Conditions R.F.Benekohal et 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