닭고기 품질에 대한 판매장 관리자의 의식 조사

Survey of Marketing Manager′s Perception for Broiler Quality

  • 채현석 (농촌진흥청 축산기술연구소) ;
  • 조수현 (농촌진흥청 축산기술연구소) ;
  • 박범영 (농촌진흥청 축산기술연구소) ;
  • 유영모 (농촌진흥청 축산기술연구소) ;
  • 김진형 (농촌진흥청 축산기술연구소) ;
  • 안종남 (농촌진흥청 축산기술연구소) ;
  • 이종문 (농촌진흥청 축산기술연구소) ;
  • 윤상기 (농촌진흥청 축산기술연구소) ;
  • 최양일 (충북대학교 축산학과)
  • 발행 : 2001.12.01

초록

소비자들이 닭고기 구입 시 고려사항은 백화점의 경우 1순위가 브랜드이었으나 슈퍼마켓에서는 가격을 우선시하였다. 통닭의 판매형태는 백화점은 냉장유통이 100%인 반면 슈퍼마켓에서는 75%수준에 머물렀다. 닭고기 품질에 대한불만사항은 백화점의 경우 드립 발생을 우선으로 꼽은 반면 슈퍼마켓에서는 신선도에 대한 불만이 높았다. 현재 닭고기의 판매 형태는 백화점, 식품체인점, 슈퍼마켓에서는 89% 이상이 닭고기의 중량별 무게 (호수)를 고려한 마리 당 판매를 실시하였다. 닭고기 구입 후 판매기간은 백화점이 3일, 슈퍼마켓은 4일 내에 전부 판매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품질을 고려한 등급별 판매에 대한 만족 여부는 백화점의 경우는 대부분이 만족하는 경향이었으나 슈퍼마켓에서는 불만족하다고 응답한 곳이 50%를 나타냈다. 닭고기의 품질 등급을 제정한다면 몇 단계가 바람직한가에 대한 설문 결과는 백화점의 경우 주로 2단계로 구분한 것을 선호하였다. 부분육의 판매 비율은 백화점과 식품 전문점의 경우 북채와 봉이 가장 많이 판매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판매장 및 소비자가 원하는 닭고기는 품질적인 면에서 우수한 닭고기를 선호하고 닭고기에 대한 품질등급제를 실시할 경우 대부분이 만족하는 경향을 보여 소비자의 신뢰를 얻기 위해서는 보다 고품질의 닭고기의 생산과 위생적인 면에서도 안전한 닭고기의 처리가 무엇보다도 중요하다고 하겠다.

The broiler marketing managers at department stores were most considered the brand whereas those at supermarket were most considered price when they purchased raw chicken. The whole chicken was distributed as fresh by 100% at department stores, whereas it was distributed as fresh only by 75% and the rest part was distributed as frozen or combination of fresh and frozen at supermarket. Consumers at department stores were most unsatisfied with drip loss whereas consumers at supermarket were most unsatisfied with freshness of chicken. At present, more than 89% broiler are selling by their weight unit of a bird (called as ho) in department stores, food chain stores and supermarket. The marketing periods were 3 days at department stores and 4days at supermarket. Most broiler marketing managers in stores such as 80% those at department stores, 60% those at food chain stores and 50% those at supermarkets were favored for the grading system based on quality of raw chicken. The broiler marketing managers at department stores and food chain stores preferred to the grading system evaluated with 2 quality grades and those at supermarkets preferred to the grading system evaluated with 3 quality grades if the grading system is to be established. The drumsticks and drummette of broiler were the most popular portions when compared to the other portions. In conclusion, marketing stores as well as consumers demanded to produce the best quality chicken by the grading system based on quality. Therefore, the quality improvement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to increase consumer preference in chicken production.

키워드

참고문헌

  1. J Food Protection v.45 Microbiological aspects of poultry and poultry products-an update Cunningham,F.E.
  2. British Poultry Sci v.21 Removing fecal contamination of broilers by spray-cleaning during evisceration Notermans,S.;Terbijhe,R.j.;Scthrost Van M.
  3. 농림부고시 HACCP (Hazard Analysis Critical Control Point). 축산물 가공처리법 제9조 축산물 가공처리법시행규칙 제7조 농림부
  4. 월간양계 12월 닭고기 저장성 증진기술(1) 이성기
  5. 축산기술연구소 연구보고서 축산물이용과편 축산기술연구소
  6. 인사이트리서치 보고서 닭고기 소비형태에 관한 조사 인사이트리서치
  7. 축산업협동조합중앙회 보고서 계란과 육계의 유통규격조사 축산업협동조합중앙회
  8. 한국식육시장 no.11월 우리나라 닭고기의 소비형태는 어떠한가 편집부
  9. 한국산업규격(KS규격) 통닭 및 부분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