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enetic Model of Mineral Exploration for the Korean Au-Ag Deposits; Mugeug Mineralized Area

한국 금-은 광상의 효율적 탐사를 위한 성인모델;무극 광화대를 중심으로

  • 최선규 (고려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
  • 이동은 (고려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
  • 박상준 (고려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
  • 최상훈 (충북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
  • 강흥석 (대학광업진흥공사)
  • Published : 2001.10.01

Abstract

The gold-silver vein deposits in the Mugeug mineralized area are emplaced in late Cretaceous biotite granite associated with the pull-apart type Cretaceous Eumseong basin. Mugeug mine in northern part is composed of multiple veins showing relatively high gold fineness and is characterized by sericitization, chloritization and epidotization. The ore-forming fluids were evolved by dilution and cooling mechanisms at relatively high temperature and salinity (=30$0^{\circ}C$,1~9 equiv. wt. % NaCl) and highly-evolved meteoric water ($\delta$$^{18}$ O;-1.2~3.7$\textperthousand$) and gold mineralization associated with sulfides tormed at temperatures between 260 and 22$0^{\circ}C$ and within sulfur fugacity range of 10$^{-11.5}$ ~ 10$^{-13.5}$ atm. In contrast, Geumwang, Geumbong and Taegueg mines show the low fineness values, in southern part are characterized by increasing tendency of simple and/or stockwork veins and by kaolinitization, silicificatitan, carbonatization and smectitization. These droposits formed at relatively low temperature and salinity (<23$0^{\circ}C$, <3 equiv. wt. % NaCl) from ore-forming fluids containing greater amounts of less-evolved meteoric waters ($\delta$$^{18}$ O;-5.5~4.0$\textperthousand$), and silver mineralization representing various gold-and/or silver-bearing minerals formed at temperatures between 200 and 15$0^{\circ}C$ and from sulfur fugacity range of 10$^{-15}$ ~10$^{-18}$ atm These results imply that mineralization in the Mugueg area formed at shallow-crustal level and categorize these deposits as low-sulfidation epithermal type. The genetic differences between the northern and southern parts reflect the evolution of the hydrothermal system due to a different physicochemical environment from heat source area (Mugeug mine) to marginal area (Taegeum mine) in a geothermal field.

무극 광화대는 인리형 분지인 백악기 음성분지와 단층 접촉하는 백악기 흑운모 화강암을 모암으로 하여 배태된 광상들로 구성되며, 광화대 북측에서 남측으로 무극${\cdot}$금왕${\cdot}$금봉 태극 광산의 순서로 배태된다. 맥의 산상, 광물학적, 유체포유불 및 등위원소 연구결과에 의하면, 북측 광화대의 무극광산은 상대적으로 높은 금-은비를 나타내는 전형적 복성맥의 구조를 보이며, 대체로 견운모화작용${\cdot}$녹니석화작용${\cdot}$녹염석화작용이 우세하게 관찰된다. 무극광산의 광화유체는 비교적 고온${\cdot}$고염도(=$300^{\circ}C$, 1~9 equiv. wt. % NaCl)와 물- 암석 상호반응이 진행된 광화유체($\delta^{18}O$; -1.2~3.7$\textperthousand$)로부터 냉각 및 희석작용의 진화양상을 보이며, 에렉트럼과 황화광물의 광물조합을 보이는 금광화기의 유황분압 및 정출온도는 $10^{-11.5}$~$10^{-13.5}$ atm과 267~$220^{\circ}C$를 보인다. 반면, 남측의 금왕${\cdot}$금봉${\cdot}$태극광산에서는 북측에 비해 낮은 금-은비를 보이는 단성맥 또는 망상세맥이 우세하게 산출되며, 캐올린화작용${\cdot}$규화삭용${\cdot}$탈산염화작용${\cdot}$스멕타이 트화작용이 광범위하게 분포하는 특징을 보인다. 이들 광산의 광화유체는 지표수의 다량 혼입에 의한 순환수 기원 ($\delta^{18}O$; -1.2~3.7$\textperthousand$)의 저온${\cdot}$저염 광화유체(<$230^{\circ}C$, <3 equiv. wt. % NaCl)로부터 $CO_2$ 비등 및 냉각작용에 의한 진화양상을 보인다. 황화광물과 에렉트림 이외에도 다양한 함은황염 광물이 우세하게 산출되는 이들 광산의 은광화기는 $10^{-15}$ ~$10^{-18}$ atm 과 200~15$0^{\circ}C$의 유황분압 및 정출온도를 보인다. 이들 연구결과는 무극광화대가 지표수의 다량 유입이 가능한 천부 지질환경임을 시사하며, 성 인적으로는 저유황형 천열수 광상으로 해석된다. 또한 광화대 북측과 남측에서의 광석광물, 이차변질광물 및 열수변질대의 분포, 광화유체 특성에 따른 전반적인 차이는 광화대내의 열적 중심부(무극광산)으로부터 열수계 최외각부(태극광산)가지의 열수계의 진화과정을 반영한 광산들의 시${\cdot}$공간적 분포에 기인한 것으로, 이는 열수계 진화과정시 유체간 혼합과정 및 광화유체 희석작용, 그리고 온도감소에 따른 금은광물 의 상이한 정출 환경에 기인한 것으로 해석된다.

Keywords

References

  1. 한국의 광상 no.10 권병수;왕규택;박명호;황해걸;김준호;정영부;정동화;문영환;강홍석;강백규;김성석
  2. 자원환경지질 v.23 무극 금은 광상에 대한 유체포유물 및 안정동위원소 분석연구 김규한;김옥준;장원선
  3. 광산지질 v.4 남한의 초기 화감암류의 관입시기와 지각변동 김옥준
  4. 한국의 광상 no.5 김성수;진정주
  5. 금속광상조사연구 v.86-10 충청도 일원의 금은광상에 대한 성인연구 박노영;최선규;박성원
  6. 광산지질 v.21 무극광산 삼형제맥의 금은광화작용 박희인;강성준
  7. 광산지질 v.21 한반도중부지역의 광상생성기와 생성구: 경기육괴내의 광상생성연대 박희인;장호완;진명식
  8. 무극광산의 탐사와 개발현황 v.20 신양우;서규식
  9. 광산지질 v.19 충청도 동북부 태창, 보련, 금왕 광산의 금은광화작용 최선규;박노영;박성원
  10. 자원환경지질 v.34 한국 중생대 화강암류와 이에 수반된 금은광화작용 최선규;박상준;최상훈;신홍자
  11. Geochemistry of hydrothermal ore deposits(2nd ed) Sulfide mimeral stabilities Barton P.B. Jr.;Skinner B.J.;HL. Barnes
  12. Geochim. Cosmochim. Acta. v.28 The electrum-tarnish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the fugacity of sulfur in laboratory sulfide systems Barton, P.B., Jr.;Toulmin, P.
  13. Data of geochemistry(Sixth Edition);U.S. Geol. Survey Prof. Paper 440-KK Compilation of stable isotope fractionation factors of geochemical interest Friedman, I;O'Neil, J.R.;Fleisher, M.(ed.)
  14. Econ. Geol. v.80 Determination of fluid inclusion compositions by sequential freezing Haynes, F.M.
  15. Geochim. Cosmochim. Acta. v.43 Oxygen isotope fractionation in the system quartzalbite-anorthite-water Matsuhisa, Y.;Goldsmith, R.;Clayton, R.N.
  16. Econ. Geol. v.83 Gold-rich mesothermal vein deposits of the Republic of Korea: Geochemical studies of the Jungwon gold area. Shelton, K.L.;So, C.S.;Chang, J.S.
  17. Econ. Geol. v.85 Geochemical studies of the Tongyoung gold-silver deposits, Republic of Korea: Evidence of meteoric water dominance in a Te-bearing Epithermal system Shelton, K.L.;So, C.S. Haeussler, G.T.;Chi, S.J.;Lee, K.Y.
  18. Econ. Geol. v.80 A comparition of temperatures estimated from electrumsphalerite-pyrite-argentite-assemblage and filling temperatures of fluid inclusions from epithermal Au-Ag vein deposits in Japan Shikazono, N.
  19. Mining Geol. v.36 Ag/Au total production ratio and Au-Ag minerals from vein-type and disseminated-type deposits in Japan Shikazono, N.
  20. Mineralium Deposita v.22 The Ag/Au ratio of native gold and electrum and geochemical environment of gold vein deposits in Japan Shikazono, N.;Shimizu, M.
  21. Mining Geol. v.36 Three epochs of gold mineralization in South Korea Shimazaki, H.;Lee, M.S.;Tsusue, A.:Kaneda, H.
  22. Econ. Geol. v.82 Stable isotope and fluid inclusion studies of gold- and silver-bearing hydrothermal vein deposits, Cheonan-Cheongyang-Nonsan mining district, Republic of Korea: Cheonan area So, C.S.;Shelton, K.L.
  23. Mining Geol. v.36 Gold and silver ores from Geumwang mine in South Korea and their mineralization Sugaki, A.;Kim, O.J.;Kim, W.J.