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ection of Acute Subarachnoid Hemorrhage: Comparison of FLAIR MR Imaging with Unenhanced CT

급성 거미막하 출혈의 진단: FLAIR MR영상과 조영전 CT와의 비교

  • Choi, Won-Jin (Department of Radiology, College of Medicine, Dongguk University) ;
  • Choi, Dae-Seob (Department of Radiology, College of Medicine, Dongguk University) ;
  • Kim, Joung-Hae (Department of Radiology, College of Medicine, Dongguk University) ;
  • Kim, Soon (Department of Radiology, College of Medicine, Dongguk University) ;
  • Lee, Hyeon-Kyeong (Department of Radiology, College of Medicine, Dongguk University) ;
  • Oh, Yoen-Hee (Department of Radiology, College of Medicine, Dongguk University) ;
  • Kim, Seung-Hyeon (Department of Radiology, College of Medicine, Dongguk University) ;
  • Lee, Sung-Woo (Department of Radiology, College of Medicine, Dongguk University) ;
  • Kim, Wook-Nyeon (Department of Neurology, College of Medicine, Dongguk University) ;
  • Lee, Kyu-Chun (Department of Neurosurgery, College of Medicine, Dongguk University)
  • 최원진 (동국대학교 의과대학 방사선과학교실) ;
  • 최대섭 (동국대학교 의과대학 방사선과학교실) ;
  • 김정혜 (동국대학교 의과대학 방사선과학교실) ;
  • 김순 (동국대학교 의과대학 방사선과학교실) ;
  • 이현경 (동국대학교 의과대학 방사선과학교실) ;
  • 오연희 (동국대학교 의과대학 방사선과학교실) ;
  • 김승현 (동국대학교 의과대학 방사선과학교실) ;
  • 이성우 (동국대학교 의과대학 방사선과학교실) ;
  • 김욱년 (동국대학교 의과대학 신경과학교실) ;
  • 이규춘 (동국대학교 의과대학 신경외과학교실)
  • Published : 2001.12.01

Abstract

Purpose : Our aim was to evaluate the usefulness of fluid-attenuated inversion recovery (FLAIR) MR imaging for detection of acute subarachnoid hemorrhage (SAH) compared with unenhanced CT. Materials and methods ; We compared FLAIR MR images with unenhanced CT scans in 28 patients with acute SAH. Findings of SAH on CT and MR images were graded as 0 (absence), 1 (suspicious), 2 (definite) in the cerebral sulci, sylvian fissure, basal cistern, and cisterns of the posterior fossa. We also compared FLAIR MR images of 28 patients with those of 35 normal subjects, and then the sensitivity, specificity, and diagnostic accuracy of FLAIR MR image for detection of acute SAH were calculated. Results : FLAIR MR image was superior to CT in detecting SAH in the posterior fossa ($1.41{\pm}0.74{\;}vs{\;}0.78{\pm}0.80$; p<0.05) and cortical sulci ($1.11{\pm}0.80{\;}vs{\;}0.70{\pm}0.83$; p<0.0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FLAIR MR image and CT in detecting SAH in the basal cistern and sylvian fissure. The sensitivity, specificity, and diagnostic accuracy of FLAIR MR image for detection of SAH were 100% in all. Conclusion : FLAIR MR image is useful in detecting acute SAH, especially in patients with small amount of SAH or SAH in the posterior fossa.

목적 : 급성 거미막하 출혈의 진단에 있어 CT와 비교하여 fluid-attenuated inversion-recovery (FLAIR) MR영상의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증상 발생 3일 이내에 비조영 CT와 FLAIR MR영상을 모두 얻었던 28명의 급성 지주막하 출혈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거미막하 공간을 피질구, 실비우스열구, 기저조, 후두와의 4부위로 나누어 각 부위 별로 CT와 FLAIR영상에서 출혈이 보이는 정도를 0(출혈 없음), 1(출혈 의심), 2(뚜렷한 출혈)의 점수로 구분하여 평가하였다. 또한 이들 28명 환자와 대조군 35명의 FLAIR영상을 비교하여 거미막하 공간의 고신호 강도를 기준으로 출혈의 유무를 판정할 경우, FLAIR영상의 민감도, 특이도 및 진단적 정확도를 평가하였다. 결과 : FLAIR영상에서 급성 거미막하 출혈은 모든 환자에서 뇌척수액이나 뇌 실질보다 고신호 강도를 보여 100%의 발견율을 보였다. CT와 비교하여 피질구($1.11{\pm}0.80$ vs $0.70{\pm}0.83$: p(0.05)와 후두와($1.41{\pm}0.74$ vs $0.78{\pm}0.80$: p(0.05)에서 FLAIR영상이 CT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우수하였다 FLAIR영상에서 거미막하 공간의 고신호 강도를 기준으로 거미막하 출혈 유무를 평가한 결과에서 100%의 민감도, 특이도 및 진단적 정확도를 보였다. 결론 급성 거미막하 출혈의 진단에 FLAIR MR영상은 매우 유용하며, 특히 출혈의 양이 소량인 경우와 후두와의 출혈을 진단하는데 CT보다 우수하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