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 of Regular Exercise on Body Fat Contents and Blood Lipid Compositon of College Women

규칙적인 운동습관이 여대생의 체지방량 및 혈중 지질초성에 미치는 영향

  • Published : 2001.04.0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o the effects of regular exercise on body fat contents and plasma lipid composition of college women.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May to August in 2000. The subjects selected for the experiment were composed sixty three female college students. The basal anthropometric measurements were performed. The levels of total cholesterol, HDL-cholesterol, triglyceride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plasma were determined. And plasma glucose concentrations was also assayed.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erized as follows : Average height and weight of E(exercise) group were found to be slightly higher than NE(non exercise) group. The percent of body fat and body fat mass (kg) in E group was slightly lowered than that of NE group. There was decreased on the levels of plasma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by regular exercise. HDL-cholesterol level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wo groups, but LDL-cholesterol level in E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ed than that of NE group. Therefore, plasma total cholesterol and LDL cholesterol levels was significantly decreased by regular exercise.

1. 수축기 혈압은 운동을 하고 있는 군에서 약간 낮았으나 이완기 혈압은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운동을 하고 있는 여대생의 경우 체지방량이 낮게 나타난 반면 제지방량은 변화가 없어 운동 여부에 의한 차이가 거의 보이지 않았다. 또 혈중 포도당 함량은 규칙적인 운동을 하고 있는 여대생에서 다소 높은 수준이었다. 2. 체지방율은 지속적인 운동을 하고 있는 여대생에 서 유의성은 없었지만 약간 낮았으며 혈청 총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의 농도 역시 유의성 있게 낮게 나타났다. HDL 콜레스테롤 농도는 두 군 모두 거의 비슷한 수준으로 군간에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던 반면 LDL 콜레스테롤의 경우 운동에 의해서 유의성 있게 낮게 나타났다. 따라서 규칙적인 운동에 의해서 HDL-Chol/Total-Chol 비율은 증가되었으며 LDL-Chol/HDL-Chol의 비율은 낮았다. 3. 혈액중 지단백질의 상대적인 분포는 HDL(%)의 경우 지속적인 운동을 하고 있는 여대생의 경우 일반 여대생에 비해 거의 차이가 없었고 LDL(%)는 유의성 있게 낮았던 반면 VLDL( %)는 오히려 높게 나타났다. Plasma의 지방산 조성중 포화 지방산 함량은 운동을 하고 있는 여대생에서 약간 높았지만 다가 불포화 지방산 함량은 같은 수준으로 두 군간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