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nges of Physicochemical Compositions in Domestic Broiler Chickens of Different Marketing Standard

국내산 닭고기의 유통규격별 이화학적 조성의 변화

  • 채현석 (농촌진흥청 축산기술연구소) ;
  • 유영모 (농촌진흥청 축산기술연구소) ;
  • 조수현 (농촌진흥청 축산기술연구소) ;
  • 박범영 (농촌진흥청 축산기술연구소) ;
  • 김진형 (농촌진흥청 축산기술연구소) ;
  • 안종남 (농촌진흥청 축산기술연구소) ;
  • 이종문 (농촌진흥청 축산기술연구소) ;
  • 윤상기 (농촌진흥청 축산기술연구소) ;
  • 최양일 (충북대학교 축산학과)
  • Published : 2001.12.01

Abstract

Changes of Physicochemical compositions in domestic broiler chickens of different marketing standard range from 5ho (Korean traditional weight unite for chicken) to 16ho were assessed. The moisture contents of chicken breast were 74.00 ∼ 76.15% and there were no significant trend with weight difference. The chicken breasts of the light weight range(5ho∼8ho) contained high fat contents of 2.35∼2.78%. The chicken breasts of the heavy weight range(12ho∼16ho) contained low fat contents of 0.47 ∼0.66%. The chicken breasts of the heavy weight range had more protein contents than those of the light weight range. The chicken breast of the light weight range showed low Warner Braztler shear force (WBS) values when compared to those taken from chicken of the heavy weight range.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water ho1ding capacity (WHC ) and cooking loss(p>0.05). In meat color the L* values (lightness) were 61.83∼71.33 an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for samples in different weight range except 5ho and 13ho. The b* valuers (yellowness) were 1.73 ∼6.79 and the values decreased with increasing chicken weight. In mineral composition. calcium and iron contents were decreased with increasing chicken weight. Phosphate, potassium and magnesium contents increased as weight ranges increased. The thigh meat separated from 11ho to 16ho had a similar tendency. In chemical composition(%). WBS, WBC. cooking loss, meat colors and mineral contents, compacted to breast in the same weight ranges. The results from this study would provide a basic information for establishment of marketing standard of chicken.

본 연구는 현재 국내에서 유통되고 있는 닭고기를 중량규격인 5호∼16호로 분류하여 수분, 지방, 단백질 및 회분의 일반성분과 전단력, 보수력, 지방, 단백질 및 회분의 일반성분과 전단력, 보수력, 가열감량 및 육색 그리고 무기물 힘량을 분석하였다. 가슴살에 대한 수분의 함량은 중량이 비교적 큰 11∼16호의 평균이 74.87%인 반면 중량이 작은 5호∼10호의 75.50%중량이 증가할수록 약간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조지방 함량은 5호부터 8호가 2.78∼2.35%을 나타내었으나 12∼16호에서는 0.47∼0.66%로 낮은 지방 함량을 보였다. 그러나 조단백질의 함량은 중량이 적을수록 감소하였으나 중량이 증가할수록 높았다. 보수력과 가열감량은 중량에 따라 일정한 경향을 보이지 않았으나 전단력의 경우 중량이 적을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무기물 중 칼슘은 중량규격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 반면 인은 반대의 경향을 보였다. K와 Mg는 중량규격이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철은 중량이 낮은 6호의 경우 6.16 ppm인 반면 15호는 3.50 ppm으로 중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육색은 명도를 나타내는 L*값은 5호가 71.33으로 가장 높게 나타난 것을 제외하고 나머지에서는 중량규격별 큰 차이를 나타나지 않았다. 황색도를 나타내는 b*값은 가슴살에서 6.79∼1.73의 분포를 나타냈으며 중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다리살도 중량규격별 11호부터 16호까지 수분, 지방, 단백질 및 회분의 일반성분과 전단력, 보수력, 가열감량 및 육색 그리고 무기물 함량을 분석하였는데 가슴살과 같은 중량범위에서는 부위(가슴살, 다리살)에 따른 차이는 있었으나, 중량규격(11호∼16호)에 따른 증감율은 서로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