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 of Additions of Supplemental Activated Carbon on the Fatty Acid, Meat Color and Minerals of Chicken Meat

활성탄의 첨가가 계육의 지방산, 육색 및 무기물에 미치는 영향

  • 박창일 (대구대학교 생명자원학부) ;
  • 김영직 (대구대학교 생명자원학부)
  • Published : 2001.12.01

Abstract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to study the effect of activated charcoal on the fatty acid composition, meat color and mineral contents of chicken meat with 48 birds of broiler for 6 weeks by adding 0%, 0.6%, 0.9% and 1.2% of activated charcoal to broiler diet. The activated charcoal level of 0.6% and 0.9% increased significantly oleic acid and arachidonic acid contents compared to control(p<0.05). L*, a*, b* values were not influenced by the added level of activated charcoal, however and a* value of different parts of chicken meat was significantly different(p<0.05). The activated charcoal diet increased significantly(p<0.05) the calcium, magnesium and phosphorus content of chicken meat, and tended to increase total mineral contents. In conclusion the activated charcoal supplements to chicken diet increased oleic acid, arachidonic acid the total mineral contents.

본 연구는 활성탄을 사료에 첨가하여 그 첨가수준(0, 0.6, 0.9, 1.2%)에 따라 계육의 지방산 조성, 육색, 무김루의 변화를 검토하고자 broiler 48수를 공시하여 6주간 실험하였으며 특히 지방산과 무기물의 함량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하여 연구의 초점을 맞추었다. 대조구에 비해서 활성탄 0.6, 0.9%의 첨가구에서 oleic acid, arachidonic acid의 함량이 유의적으로 많았으며(p<0.05), 또한 활성탄 첨가수준에 따라 L*, a*, b* 값의 변화는 없었고, a* 값은 부위에 따라 유의성에 인정되었다(p<0.05). 활성탄 첨가수준에 따른 무기물 변화는 대조구에 비해 활성탄 첨가수준에 따른 무기물 변화는 대조구에 비해 활성탄 첨가구에서 Ca, Mg, P 함량이 많았으며(p<0.05) 총 무기물 함량은 활성탄 첨가구에서 많은 경향이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 활성탄을 첨가하면 지방산은 oleic acid와 arachidonic acid 그리고 총무기물함량이 많아지는 경향이라고 결론 지을 수 있겠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