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성강하물 조건하에서 활엽수림 생태계의 양료순환 양상

Pattern of Nutrient Fluxes in Deciduous Forest Ecosystem Imparted by Acidic Deposition

  • 장관순 (대전보건대학 환경관리과)
  • Chang, Kwan-Soon (Dept. of Environment Management, Daejon Health Sciences College)
  • 발행 : 2001.12.01

초록

본 연구는 일본 북해도 지방의 임해공업단지에 인접되어 있는 점소목지역 내 활엽수 천연림에서 주요 염기성 양이온에 대한 물질순환 수지를 파악하고자 강우(wet deposition), 임내우(throughfall), 수간류(stemflow) 그리고 토양침투수(soil leachate)에 대한 이온 flux를 정량화하였다. 조사 결과 강우는 평균 pH 4.3의 강한 산성우로 강우에 의한 $H^{+}$ flux는 034kmo1$_{c }$ $ha^{-1}$ /이었고, 임내우와 수간류에 의한 염기성 양이온($K{+ }$ , $Na^{+}$ , $Ca^{ 2+ }$, $Mg^{2+}$ )의 flux는 $1.6kmol_{c}$ ha$^{-1}$ 로 강우의 0.49 kmolc $ha^{-1+}$ /보다 3배 많았다. 수관충 용탈(canopy leaching)에 의한 염기성 양이온의 flux는 0.95kmo1c $ha^{H}$ 로 강우에 의한 $H^{+}$ flux보다 2.8배 높았으며, H$^{+}$는 수관층에서 치환성 양이온들에 의해서 거의 소비되었다. 토양층에서 이온배출 flux는 토양특성에 의존되었으며, 토양 중 Ca은 proton소비에 중요한 인자로 작용하였다. 생태계의 물질순환에 대한 수지에서 Na, Ca및 Mg은 생태계 내부에서 외부로 방출되는 양보다 생태계로 유입되고 있는 양이 많아 생태계에 축적되고 있었으나, K의 경우는 부의 flux를 나타냈다.

The fluxes of wet deposition(WD), throughfall(TF), stemflow(SF) and soil leachates were measured to understand base cation budgets on deciduous ecosystem impacted by acidic deposition in the north-western part of Tomakomai in Hokkaido, Japan. The flux of $H^{+}$ for wet deposition was $0.34kmo1_{c}$ $ha^{2+}$ and the flux of base cation, $K^{+}$ /, Na$^{ + }$, $Ca^{2+}$ and $Mg^{2+}$ far throughfall plus stemflow wart 1.6 kmolc $ha^{-1}$ , 3 times higher level than that for wet deposition. The flux of base cation for canopy leaching(LI) was 0.95 kmolc ha$^{-1}$ , 2.8 times higher level than $H^{+}$ sources in wet deposition. The major mechanism of $^{+}$ consumption closely related to acidic neutralizing capacity of canopy. The ionic flux for soil leachates from Boil reservoir and proton consumption in soil was dependent on soil chemical states and exchangeable Ca in soil had a major factor of H$^{+ }$ consumption. The base cation budgets on deciduous ecosystem showed positive balance fur Na, Ca and Mg, while K was the negative value.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