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nge of Regional Myocardial Blood Flow After Transmyocardial Laser Revascularization in Porcine Model of Chronic Myocardial Ischemia

돼지 만성 심근허혈 모델에서 경심근레이저혈류재건술 후 국소 심근 혈류량의 변화

  • Park, Kay-Hyun (Department of Thoracic and Cardiovascular Surgery, Samsung Medical Center,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 Ahn, Hyuk (Department of Thoracic and Cardiovascular Surgery,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박계현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흉부외과) ;
  • 안혁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흉부외과학 교실)
  • Published : 2001.09.01

Abstract

Background: This study was aimed to assess improvement in myocardial perfusion after TMR by measuring regional myocardial blood flow(RMBF) in porcine model of chronic myocardial ischemia. Material and Method: Ameroid ring was placed around the proximal left circumflex coronary artery in fourteen pigs. After 4 weeks, the control group(7 pigs) underwent rethoracotomy only, and the TMR group(7 pigs) underwent Ho:YAG laser TMR at the circumflex territory. After another 4 weeks, the animals were sacrificed for the measurement of RMBF using colored microspheres. The ratio of RMBF between the circumflex territory and the interventricular septum was calculated and compared. Result: At 4 weeks after ameroid constriction, RMBF of the circumflex territory decreased to 46∼89% of RMBF of the interventricular septum. In five of six animals in the TMR group, RMBF of the circumflex territory at 8 weeks after ameroid constriction was higher compared with RMBF at 4 weeks after ameroid constriction. However, the improvemen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only in two animals. In three of the four animals in the control group, RMBF of the circumflex territory also increased at 8 weeks compared with RMBF at 4 weeks. The degree of increase in RMBF was not different between the control and the TMR groups. Conclusion: In porcine model of chronic myocardial ischemia, the degree of increase in RMBF of the ischemic area after Ho:YAG TMR was not different from the increase by development of native collateral circulation. Perfusion of ischemic myocardium after TMR is not thought to improve to the degree that can be demonstrated by currently available method of assessment such as radioisotope myocardial scintigraphy.

배경: 최근 레이저를 이용한 경심근 혈류 재건술(TMR)이 말기 협심증 환자에게 협심증이 개선에 효과가 있는 치료 방법으로 보고되고 있으나 여러 동물 실험 연구들에서는 상반되는 결과들이 발표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돼지의 만성 심근 허혈 모델에서 국소 심근 혈류량의 측정을 통하여 TMR 후 심근 관류 개선 여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4마리의 돼지에서 좌회선지 관상동맥에 ameroid ring을 거치하여 만성 심근 허혈을 조성한 후 4주 경과시 각 7마리씩 대조군과 실험군으로 나누어 대조군에서는 개흉과 심낭내 유착 박리만을 시행하였고 실험군에서는 Ho:YAG 레이저를 이용하여 좌회선지 영역에 TMR을 시행하였다. 이후 다시 4주가 지난후 동물을 희생시키고 심장을 적출하여 각 수술 시마다 주사된 각각 다른 색의 착색 미세구를 이용, 국소 심근 혈류량을 측정하였다. 심근 절편 내의 미세구 함유량을 측정하여 회선지 영역과 심실 중격간의 혈류량 비를 비교함으로써 대주군과 실험군 사이의 혈류량 변화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결과: Ameroid ring 거치 4주 후 좌회선지 영역의 심근 혈류량은 심실 중격 혈류량의 46∼89%로 감소되었다. 8주 경과시의 좌회선지 영역 심근 혈류량은 대조군 4마리 중 3마리에서 4주 경과 시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되었으며 증가 폭은 14∼18%였다. 실험군 6마리 중에서는 2마리에서만 유의한 증가가 관찰되었으며 증가 폭은 7∼34%였다. 결론: 돼지 만성 심근 허혈 모델에서 Ho:YAG 레이저를 이용한 TMR 시행 4주후 허혈 영역의 국소 심근 혈류량 증가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큰 차이가 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그러나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수의 동물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후속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