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텐던커플러를 사용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교량부재의 이음부 응력분포 특성

Stress Distribution on Construction Joint of Prestressed Concrete bridge Members with Tendon Couplers

  • 발행 : 2001.02.01

초록

최근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연속 교량은 다양한 공법에 의해 시공되어지고 있으며, 특히 세스먼트로 시공되는 ILM(Incremental Launching Method)과 MSS(Movable Scaffolding System) 공법을 사용하는 경우 교량 단면에서 시공이음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시공이음부에서 연속적인 트리스트레스 하중을 도입하기 위해서는 텐던을 겹침이음(overlapping)하거나 텐던 커플러를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텐던 커플러를 사용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교량 부재의 텐던 접속이음에 대한 응력 상태를 구명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해 텐던의 커플링 효과를 고려한 실험과 유한요소 해석을 수행하였다. 유한요소 해석 결과와 실험에서 얻은 접속이음부의 응력 상태는 비교적 잘 일치하는 것으로 잘 나타났으며, 텐던 커플러를 사용한 접속이음부의 응력 상태는 텐던 커플러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 종방향 및 횡방향 응력 상태가 상당히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특히 구조적으로 문제가 되는 종방향 압축응력은 접속이음부 주위에서 텐던의 접속 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크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텐던 접속이음부 주위에서의 종방향 압축 응력의 감소는 활하중, 온도하중 및 건조수축으로 인해 프리스트레스트 교량에 인장응력이 작용할 때 균열이 발생할 수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 얻은 텐던 접속이음부에서의 응력 상태는 향후 텐던 접속이음부의 구조 거동을 평가하고, 해석 및 설계에 유용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 있다.

Recently, prestressed concrete(PSC) bridge structures with many repetitive spans have been widely constructed using the segmental construction method in many countries. In these segmentally constructed PSC bridges, there exist many construction joints which is required coupling of tendons or overlapping of tendons to introduce continuous prestress through several spans of bridge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in detail the complicated stress distributions around the tendon coupled joints in prestressed concrete girders. To this end, a comprehensive experimental program has been set up and a series of specimens have been tested to identify the effects of tendon coupling. The present study indicates that the longitudinal and transverse stress distributions of PSC girders with tendon couplers are quite different from those of PSC girders without tendon couplers. It is seen that the longitudinal compressive stresses introduced by prestressing are greatly reduced around coupled joints according to tendon coupling ratios. The large reduction of compressive stresses around the coupled joints may cause deleterious cracking problems in PSC girder bridges due to tensile stresses arising from live loads, shrinkage and temperature effects. The analysis results by finite element method correlate very well with test results observed complex strain distributions of tendon coupled members.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paper will provide a good basis for realistic design guideline around tendon coupled joints in PSC girder bridges.

키워드

참고문헌

  1. Prestressed Concrete - Design and Construction Leonhardt, F.
  2. Prestressed Concrete Bridges Menn C.
  3. Research Report No.356 Anchorage Zone Reinforcement for Post-Tensioned Concrete Girders Breen J.E.(et al.)
  4. PCI Journal v.29 no.1 Behavior of Post Tensioned Girder Anchorage Zones Stone W.C.;Breen J.E.
  5. American Concrete Institute Building Code Requirement for Reinforcement Concrete and Commentary ACI Committee 318
  6. Model Code for Concrete Structures CEB-FIP
  7. Standard Specifications for Highway Bridges, 16th Ed AASHTO
  8. DIN 4227 Part 1 German Building Code
  9. Post-Tensioning Manual, Fourth Edition
  10. 도로교 설계 기준 건설교통부
  11. 콘크리트 구조 설계 기준 건설교통부
  12. TRR No.1072 Stress State in Coupling Joints of Post-tensioned Concrete Bridge Seible F.;Kropp Y.;Lathan C.T.
  13. Schaden an Brucken und Anderen Ingenieurbauwerken Ruhberg R.;Schuman 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