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racteristics of Sulfur oxidation and the Removal of Hydrogen sulfide by Burkholdera[Pseudomonas] cepacia

Burkholderia[Pseudomonas] cepacia의 황 산화 특성 및 황화 수소 제거

  • 정성제 (경희대학교 생명과학부 식품공학과,생명자원과학연구원) ;
  • 이은관 (경희대학교 생명과학부 식품공학과,생명자원과학연구원) ;
  • 전억한 (경희대학교 생명과학부 식품공학과,생명자원과학연구원) ;
  • 윤인길 (경희대학교 환경응용화학부, 산학협력기술연구원) ;
  • 박창호 (경희대학교 환경응용화학부, 산학협력기술연구원)
  • Published : 2001.10.01

Abstract

A bacterium was isolated from soils in Suwon, Korea for the purpose of H$_2$S removal using a biofilter system. The isolate was gram-negative, rod-shaped, catalase-positive, motile, and the isolated bacterium showed a positve in utilizing energy sources including citrate, mannitol, sucrose, fructors, and trehalsoe. Based on its biochemical characteristics it was identified as Burkholderia(Pseudomonas) cepacia. The growth rate of the bacterium in thiosulfate medium with yeast extract was 0.15 hr$\^$-1/ and generation time was 4.6 hr. The cell productivity was 8.05 mg/L$.$h and the isolate grew logarithmically up to 12 hr. The maximum rate of sulfur oxidation was 0.18 g-S/L$.$h. The optimum pH and temperature for the growth of the bacterium were 7.0 and 30$\^{C}$, respectively. The pH range for the growth of B. cepacia was 5.0-8.0. The oxidation rate of thiosulfate was lowered by a substrate thiosulfate when the concentration was higher than 0.12 M. both growth rate and sulfur oxidation rate of Burkholderia(Pseudomonas) cepacia was enhanced about 1.5 times with the addition of 0.2% yeast extract. The removal of hydrogen sulfide was investigated by immobilized B. cepacia with Ca-alginate. The maximum rate removal for H$_2$S was 6.25 g$.$$.$h$\^$-1/ when 12 L/h of flow rate was supplied. From this study suggest the immobilized B. cepacia could have a potential for H$_2$S removal.

분리 규주는 운동성을 갖는 그람 음성 간균으로서 catalase 양성 반응을 보였으며, citrate, mannitol, sucorse, frutose, trehaslos 등을 이용하였다. Biolog test 결과, 분리 균주는 burkholderia(Pseudomonas) cepacia 이 것으로 동정되었으며, 85.5%의 유사성을 나타내었다. 분리 균주의 최적온도와 pH는 각각 3$0^{\circ}C$, 7.0이었으며, pH 4.0-8.0의 넓은 범위에서 성장이 가능하였다. 그리고 분리 균주의 유기물의 영향을 알아 본 결과 thiosulfate 배지에 yeast extract를 유일한 탄소원으로 혼합하여 첨가하면 thiosulfate 와 yeast extract 중 하나가 성장 제한 인자 중 하나의 농도를 증가시키면 세포 성장에 따른 균체량이 증가하였다. 본 실험에서는 유기물로는 glucose 보다 yeast extract를 첨가했을 때가 증식 속도와 황산화 속도가 높게 나타났다. Thiosulfate 농도에 따른 분리균주의 황산화 속도와 최대 황산화 속도는 각각 0.56.h$^{-1}$과 0.18 g-S/L.h로 나타났다. 결과는 환산화 속도는 기질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완만하게 증가하여 0.12M에서 0.2 g-S.L.에 도달하였으나 0.16M에서는 급격하게 감소하였다. 분리균의 황하 수소 제거능을 조사하기 위하여 각 flow rate 에 따른 최대 제거 속도는 Vm과 K CIn/R과 CIn의 그래프를 이용하여 Hanes-Wolf 식을 통하여 구했다. 즉, 그래프 기울기와 Y절편으로부터 계산한 flow rate 12 L/h에서의 황화 수소에 대한 Vm과 Ks는 각각 6.25 g-S.㎤.h$^{-1}$과 22.88ppm이다 높은 flow rate에서의 제거 효율과 제거 용량은 역 경향이 나타났다. 이것은 mass transfer 효과 즉, 확산 제한에 기인한 것이지 미생물의 효소 활성의 제한에 의한 것은 아니다 (19), 따라서 biofilter 내로 고농도의 황화 수소가 유입 될 때 황화 수소 가스의 flow rate를 줄이든지 또는 적절한 제거 용량에 도달하기 위해 충진물의 부피를 증가 할 필요가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