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asification Performance of a Heavy Residual Oilwith Changes in Key Operating Variables

주요 운전 변수에 따른 중잔유 가스화의 성능 예측

  • 이승종 (고동기술연구원 플랜트엔지니어링센터 및 아주대학교 시스템공학과) ;
  • 윤용승 (고동기술연구원 플랜트엔지니어링센터 및 아주대학교 시스템공학과)
  • Published : 2001.02.01

Abstract

발전 연료로서의 활용 가치가 높은 중잔유의 효과적인 활용을 위해 중잔유의 가스화 성능에 영향을 주는 주요 변수들인 산소 공급비, 증기 공급비 및 가스화기 온도를 변화시키면서 중잔유 가스화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으며 가스화 성능을 예측하였다. 산소량은 0.5~2.0의 산소/연료비 범위에서 변화시켰고 증기량은 0.1~2.0의 증기/연료비에서 변화시켰으며 가스화기 온도는 600~200$0^{\circ}C$의 범위에서 변화시켰다. 대상 연료는 국내산 아스팔트이며 산소-증기, 산소-온도 및 증기-온도의 조합으로 동시 변화시킬 때의 가스화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산소량이 증가할수록 CO와 H$_2$ 생성량은 증가한 후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증기량이 증가할수록 H$_2$ 생성량은 130$0^{\circ}C$부근까지 증가한 후 130$0^{\circ}C$ 이상에서는 서서히 감소하였으며, CO 생성량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국내산 아스팔트의 경우 산소/연료비 0.92~1.01, 증기/연료비 0.18~0.49 및 가스화기 온도 1250~132$0^{\circ}C$의 영역에서 가스화 성능이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Hydrocarbon Processing v.78 no.4 Kwon, S.H.(et al)
  2. Hydrocarbon Processing v.73 no.9 Tamburrano, F.
  3. EPRI, Gasification Technologies Conference Optimizing/Costing Study for a 500 MW IGCC Power Plant based on the Shell Gasification Process Liebner, W.;Hauser, N.
  4. Gasification Technologies Conference The Texaco Gasification Process in 2000 Startups and Objectives Preston, W.E.
  5. Coal Conversion Technology Wen, C.Y.;Lee, E.S.
  6. EPRI, Gasification Technologies Conference The Shell Gasification Process for Conversion of Heavy Residues to Hydrogen and Power Koenders, L.O.M.;Posthuma, S.A.;Zuideveld, P.L.
  7. 화학공학 v.37 no.5 이승종;윤용승;유진열;서인준
  8. Bioresource Technology v.46 Holopainen, O.
  9. Fuel v.72 no.1 Bianco, A.D.(et al)
  10. Coal Combustion and Gasification Smoot, L.D.;Smith, P.J.
  11. AIChE Journal v.30 no.1 Govind, R.;Shah, J.
  12. 에너지공학 v.4 no.2 안달홍;김종진;김종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