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ameter Estimation of Groundwater Flow in Hillside Slopes Using Bayesian Approach

사면의 지하수 흐름에서 Bayesian 이론을 이용한 매개변수 추정

  • 이인모 (고려대학교 공과대학 토목환경공학과) ;
  • 이주공 (고려대학교 공과대학 토목환경공학과) ;
  • 김영욱 (명지대학교 SOC공학부 토목환경공학과)
  • Published : 2001.04.01

Abstract

지하수위의 상승에 따른 간극수압의 증가는 사면의 불안정을 야기할 수 있다. 그러나 모델링 오차, 계측오차, 모델변수의 불확실성 등과 같은 오차로 인하여 사면에서의 지하수위 변동을 예측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이러한 불확실성을 극복하고 지하수위 변동을 평가하기 위한 최적의 모델변수를 구하기 위하여 역해석 기법이 사용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사면에서의 지하수위 변동을 예측하기 위하여 포화대에서의 지하수 흐름과 불포화대에서의 지하수 흐름을 동시에 고려할 수 있는 수치해석 모델과 변수예측기법을 적용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포화투수계수($K_{s}$ ), 포화흡인력($\psi$$_{e}$) 및 불포화 투수계수의 함수에 사용되는 경험적인 상수(b)를 주요 매개변수로 선정하여 역해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역해석 기법 가운데 Maximum Likelihood(MK), Maximum-A-Posterior(MAP) 및 Extended Bayesian Method(EBM)에 대하여 비교연구를 실시하였다. 위의 세가지 방법 가운데 EBM은 가상의 변수(Hyperparameter) $\beta$를 도입함으로써 현장계측치와 사전정보를 가장 잘 조화시키는 방법으로 다른 ML, MAP 보다 탁월한 방법인 것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Numerical analysis of porewater pressure predictions on hillside slopes 서정복
  2.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사면의 지하수 흐름에서 Bayesian 이론을 이용한 매개 변수 분석 이주공
  3. Parameter estimation in engineering and sciences Back,J.V.;Arnold, K.J.
  4. Soil Sci. v.117 A simple method for determining unsaturated conductivity from moisture retention data Campbell, G.S.
  5. Groundwater modeling by the finite element method Istok J.
  6. International Journal of Numerical and Analytical Methods in Geomechanics v.18 Inverse analysis of an embankment on soft clay by extended bayesian method Yuske, H.;Liu, W.T.;Soumitra, G.
  7. Structural safety v.14 Application of Akaike information criterion ststistics to geotechnical inverse analysis: extended Bayesian method Yuske,H.;Liu, W.T.;Sakajo, 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