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 of Polyethyleneimine on Dispersion Behavior of Kaolin Slurry

고령토 슬러리의 분산거동에 미치는 Polyethyleneimine의 영향

  • 박재구 (한양대학교 지구환경시스템공학과) ;
  • 박제현 (한양대학교 지구환경시스템공학과) ;
  • 신희영 (한국지질자원연구원)
  • Published : 2001.07.01

Abstract

고령토 슬러리의 분산특성에 미치는 양이온성 polyethyleneimine 결합제의 영향을 고찰하였다. 분산제인 Sodium Hexametaphosphate (SHP)를 0.8 wt% 첨가한 경우와 첨가하지 않은 두 가지 슬러리 내에서 polyethyleneimine (PEI)의 첨가량에 따른 슬러리의 응집, 분산거동을 점도 및 제타전위 측정을 통해 평가하였다. 슬러리 내에 SHP 유무에 상관없이 PEI 농도가 0.02 wt%일 경우에는 응집, 0.6 wt%에서는 분산, 0.6 wt% 이상에서는 재응집되는 것으로 각각 나타났다. 슬러리가 응집-분산-재응집과정을 거치는 동안 점토입자의 제타전위는 항상 일정한 값을 유지하였다. 또한 입자표면의 PEI의 흡착량은 SHP를 첨가한 슬러리의 경우가 크게 나타났으며, 분산성은 상대적으로 더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한국자원공학회지 v.35 미생물 침출에 의한 국내 저품위 고령토의 탈철에 관한 연구 김성규;박두현;이화영;오종기
  2. 한국세라믹학회지 v.37 no.12 헥토라이트 점토의 수열합성 및 특성 이석기;구광모;이정훈;이병교
  3. 요업학회지 v.36 no.12 알루미나 콜로이드 현탁액의 응고와 요변성 이상진;박홍채;전병세
  4. 요업학회지 v.36 no.2 비수계분산매체에서 질화규소와 소결첨가제 A1N 및 Nd₂O₃의 분산 김재원;백운규;윤경진
  5. Solid/Liquid Dispersion T. F. Tadros
  6. Principles of Ceramics Processing J. S. Reed
  7. Stabilization of Colloidal Dispersions by Polymer Adsorption T. Sato;R. Ruch
  8. Surfactant Science Series v.51 Surface and Colloid Chemistry in Advanced Ceramics Processing R. J. Pugh
  9. 점토광물학 문희수
  10. Coll,& Surface A: Physicochemical & Engineering Aspects v.121 OH-Al Polymers HMP Adsorption on Kaolinite: Experimental Condition and Viscosity of Defloccualated Suspensions L. B. Garrido
  11. An Introduction to Clay Colloid Chemistry H. Van Olphen
  12. Intermolecular and Surface Forces J. N. Israelachvili
  13. Clays and Ceramic Raw Materials W. E. Worrall
  14. Coll. & Surfaces v.61 The Stability of Kaolinite-in-water Dispersions R. S. Chow
  15. J. of Coll. & Interface Sci. v.143 no.2 Effect of Surfactant Concentration on the Stability of Aqueous Titanium Dioxide Suspensions T. Sato
  16. Electrical Phenomena at Interfaces H. Ohshima
  17. Coll. & Surface A: Physicochemical & Eng. Aspects v.153 Bridging and Depletion Flocculation of Synthetic Lattices Induced by Polyelectrytes K. Furusaw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