옥천대에 대한 고자기 연구:충주-수안보 일원 황강리층의 변형과 대자율 비등방성(AMS)

Palaeomagnetism of the Okchon Belt, Korea : Anisotropy of Magnetic Susceptibility (AMS) and Deformation of the Hwanggangri Formation in Chumgju-Suanbo Area

  • Son, Moon (Department of Geology, Pusan National University) ;
  • Kim, In-Soo (Department of Geology, Pusan National University) ;
  • Kang, Hee-Cheol (Department of Geology, Pusan National University)
  • 발행 : 2001.02.01

초록

옥천대 중부 충주-수안보 일원에 분포하는 황강리층을 대상으로 대자율 비등방성을 측정하고 야외 지질구조 자료들을 수입하였다. 그 결과, 연구지역의 북동부와 남서부 지역은 변성과 변형사가 서로 달랐음이 드러났다. 황강리층에는 야외에서 구별되는 두 종류의 벽개, 즉 점판벽개($S_1$)와 파랑벽개($S_2$)가 발달하고 있으나 $S_1$면은 연구지역의 북동부에서 뚜렷이 관찰되는 반면, 남서부에서는 $S_2$면의 발달이 절대적으로 우세하다. 등온잔류자기 강도, 제적 총 대자율 그리고 비등방성의 정도는 모두 남서부에 비해 북동부 지역에서 훨씬 높은 값을 보이고 있으며 남서쪽으로 갈수록 이들 값들이 현저히 감소하여 남서부 지역에 이르러서는 일관되게 매우 낮은 값을 보여준다. 또한, 대자율 비등방체의 형태도 북동부 지역에서 자기적 엽리구조가 우세하며 남서쪽으로 갈수록 선구조 영역으로 점진적으로 변화되어 남서부 지역에 이르러서는 일관되게 구에 가까운 형태를 이룬다. 이러한 사실들은 모두 북동부에 비해 남서부에서 보다 강한 후기 변성과 변형이 있었음을 지시하는 것이다. 한편, 북동부 지역에서 얻어진 대자율 비등방 타원체의 주축들($k_1$, $k_2$, $k_3$)의 분포 양상을 근거하면, 연구지역 황강리층은 세 번의 변형사건($D_1$, $D_2$, $D_3$)을 겪은 것으로 해석된다. 북서-남동방향의 압축력에 의해서 북동-남서방향의 $S_1$면이 형성되고 이 엽리면을 따라 순수 전단작용이 발생하여 황강리층을 편평화시킨 동축 변형사건($D_1$)이 제일 먼저 있었으며, 이후 $S_2$면을 따라 북서향의 충상단층과 좌수향의 연성 혹은 준 연성의 단순 전단작용이 일어나 기존의 변형타원체의 주축들이 차별적으로 회전되는 비동축 변형사건($D_2$)이 있었고, 마지막으로는 북동방향의 수평축을 가진 요굴습곡을 형성시킨 변형사건($D_3$)이 있었다. 남서부 지역에서는 비등방 타원체의 모든 주축들이 분산되어 있으며 야외에서 $S_2$면이 우세하게 관찰되고 북동부에 비해 IRM강도, 체적 총대자율 그리고 대자율 비등방성 정도 등이 한결같이 매우 낮다. 이러한 점들은 북동부에 비해 강한 후기 변형 혹은 변성 과정에서 자성광물의 배열이 분산되었거나 강한 $D_2$변형으로 $D_1$변형타원체가 중첩되어 역변형된 결과이거나 혹은 이 두가지가 복합된 결과로 해석된다.

We report the results of structural field observation and measurement of anisotropy of magnetic susceptibility (AMS) of the diamictitic Hwanggangri Formation distributed in Chungju-Suanbo area of the Okchon Belt, Korea. The outcrops of the Hwanggangri Formation show two types of cleavage in general: slaty cleavage (SI) and crenulation cleavage (5z). 5] cleavage is, however, well observable only in the notheastem (NE) part of study area, while overwhelmed by 52 cleavage in the southwestern (5W) part, indicating stronger later deformation in 5W part of the study area. This partitioning of the study area is corroborated by both IRM and AMS parameters: NE part of the study area is characterized by higher IRM intensity, higher bulk magnetic susceptibility, higher AM5 degree, and by oblate shape of magnetic susceptibility ellipsoid. Their values become drastically lowered toward southwest, and reach to a stable minimum in the whole 5W part of the study area. In addition, degree of both metamorphism and deformation tends to increase gradually from northeast toward southwest and also from northwest toward southeast in the study area. Based on the distribution pattern of the principal axes ( $k_1, k_2, k_3$ axes) of magnetic anisotropy ellipsoids revealed in the NE part of the study area, three episodes of deformation ( $D_1, D_2, D_3$ ) are recognized: D_1$ deformation produced $S_2$ cleavage with NE-5W trend, which is caused by a strong NW-SE tlattening of a coaxial pure shear. $D_2$ deformation produced 5z cleavage characterized by a non-coaxial deformation. It was caused by a ductile or semi-ductile thrusting toward NW and concurrent sinistral shearing along $S_2$ cleavage plane. Lastly, $D_3$ deformation produced tlexural folding of all previous structures with a nearly horizontal NE fold axis. Distribution pattern of the principal axes of magnetic anisotropy ellipsoid from the SW part of the study area, on the other hand, does not show any coherency among sites or samples. We interpret that this dispersed pattern of $k_1, k_2, k_3$ axes together with lower anisotropy strength indicates that magnetic fabrics in the SW part have been disturbed either by a superposition of strong deformation/metamorphism or by a kind of reciprocal strain due to an overlapping of $D_1$ and $D_2$ or by both processes.

키워드

참고문헌

  1. 고자자기학 김광호;도성재
  2. 한국지질도(1:50.000), 충주도폭과 설명서 김기완;이홍규
  3. 자원환경지질 v.30 옥천대에 대한 고자기 연구: 태백지역에서의 대자율 비등방성과 지구조적 응력장 김성욱;최은경;정연규;김인수
  4. 광산지질 v.1 춘주문경간의 옥천계의 층서와 구조 김옥준
  5. 광사지질 v.2 남한 중부지역의 지질과 지구조 김옥준
  6. 지질학회지 v.7 남한의 광상생성시가와 생성구 김옥준
  7. 광산지질 v.16 고자기학연구를 위한 자성광물론 김인수
  8. 광산지질 v.23 포항이남 제3기 분지암석의 자기 비등방성과 지구조적 응력장 김인수
  9. 광산지질 v.20 옥천 북동면에 분포하는 무산혼성편마암에 대한 암석학적 연구 나기창
  10. 광산지질 v.15 충주층군과 옥천층군의 비교연구 나기창;이동진;이상헌
  11. 광산지질 v.24 대자율 이방성과 이의 지질학적 응용 도성재
  12. 광산지질 v.3 옥천층군의 지질시대에 고나하여 손치무
  13. 지질학회지 v.7 남한 중부 옥천지향대에 있어서의 화성활동에 관한 연구 이대성
  14. 한국지질도(1;50,000), 황강리도폭과 설명서 이민성;박봉순
  15. 지질학회지 v.34 옥천계의 빙하기원 다이아믹타이트와 그 지질시대 및 고생대 말의 한반도의 고지리 이민성;여정필;이종익;좌용주;Yoshida, S.;이한영
  16. 한국의 지질 시대미상의 옥천누층군 이종혁
  17. 이종혁교수 정년퇴임 기념논문집 옥천누층군의 지질 이종혁
  18. 지질학회지 v.36 옥천대 황강리층 함력천매암질내의 석회암역의 REE와 Sr 동위원소 조성 이지민;김규한;Tanaka, T.;Kawabe, I.
  19. 지질학회지 v.29 북동부 옥천구조대 부산지역의 지질구조 및 변형작용사 임명혁;장태우
  20. 순천전단대 장태우;기원서;이병주
  21. 지구과학회지 v.19 옥천대에 대한 고자기 연구: 북동옥천대에서의 대자율 비등방성과 지구조적 응력장 최은경;김성욱;김인수
  22. Paleomafnetism: Magnetic Domains to Geologic Terranes Butler, F.R.
  23. United nations ESCAP, CCOP Tecnical Bulletin v.14 Submarine Debris flow deposits in the Ogcheon Basin, Korean Peninsula Chough, S.K.
  24. Sedimentary Basins in the Korean Peninsula and adjacent Seas The hwanggangri Formation in the Ogcheon Basin Chough, S.K.;Bahk, K.S.;Chough, S.K.(ed.)
  25. J. Geol. Soc. Korea v.27 The Ogcheon Belt (Republic of Korea): Tectonics and Geodynamics of a polyclic intraplate domains Cluzel, D.
  26. Tectonophysics v.193 Geodynamics of the Ogcheon Belt (South Korea). Geodynamic Evolution of the Eastern Eurasian margin Cluzel, D.;Cadet, J.P.;Lapierre, H
  27. Methods in Rock magnetism and palaeomagnetism: Techniques and Instrumentation Collinson, D.W.
  28. Geophys. Surveys v.5 Magnetic anisotropy of rocks and its application in geology and geophysics Hrouda, F
  29. Tectonophysics v.142 Mathematics model relationship between the paramagnetic anisotropy and strain in slates Hrouda, F.
  30. Tectonophysics v.79 Characterization of the magnetic fabric of rocks Jelinek. V.
  31. J. Geol. Soc. Korea v.7 Metamorphic facies and reginal metamorphism of Ogcheon Metamorphic Belt Kim, H.S.
  32. Caledonian Ogcheon orogency of korea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Ogcheon uraniferous marine black slate Kim, J.H.
  33. J. Geol. Soc. Korea v.31 Deformation sequence and characteristics of the Ogcheon Supergroup in the Goesan area, central Ogcheon Belt, Korea Koh, H.J.;Kim, J.H.
  34. J. Geol. Soc. Korea v.24 Structual analysis of the Ogcheon Group in the Hanggangni Area, Korea Lee, Y.-J.;Kim, H.-S.
  35. Tectonophysics v.24 Mathematical model studies on factors affecting the magnetic anisotropy of deformed rocks Owens, W.H.
  36. Tectonophisics v.307 Evolution of magnetic fabrics during incipient deformation of mudrocks (Pyrenees, northern Spain) Pares, J.M.;Van der Pluijm, B.A.;Diners-turell, J.
  37. The Tecniques of Modern Structual Geology, Volume 1: Strain Analysis Ramsay, J.G.;huber, M.I.
  38. Tectonophysics v.53 magnetic susceptibility anisotropy in the Cambrain slate belt of North Wales and correlation wth strain Rathore, J.S.
  39. J. Geol. Soc. Korea v.12 tillites of the Ogcheon Group and their stratigraphic significance Reedman, A.J.;Fletcher, C.J.N.
  40. The geology of the hwanggangri minning district, Republic of Korea Reedman, A.J.;Fletcher, C.J.N.;Evans, R.B.;Workman, D.R.;Yoon, K.S.;Rhyu, H.S.;Jeong, S.H.;Park, J.N.
  41. The Magnetic Anisotropy of Rocks Tarling, D.H.;Hrouda, 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