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도 생태수리실험에 의한 회유성 어류의 소상능력 평가(II) - 계단식 어도 -

Assessment of Ascending Capacity of Migratory Fish in Fishways by Eco-hydraulic Experiments (II)

  • 발행 : 2001.08.01

초록

본 연구는 어도 생태수리실험에 의하여 계단식 어도에서 회유성 어류의 소상능력을 평가하기 위한 것으로서 은어와 송어를 대상으로 실험하였으며, 기존 계단식 어도 설치 하천의 회유성 어류 이동생태환경을 분석하였다. 계단식 어도에서 은어의 소상능력은 낙차가 16.0cm미만으로 작을 때는 송어보다 크고, 20.0cm이상으로 낙차가 클 때는 송어의 소상능력이 은어보다 크다. 은어는 송어보다 도약을 선호하며 도약 후의 지구력은 송어가 은어에 비하여 크다. 수계별 기존 설치된 계단식 어도의 낙차가 매우 크기 때문에 은어와 송어의 이동에 관한 생태환경이 매우 불량하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하여 볼 때 고전적인 계단식 어도의 설치는 하천에 서식하는 회유성 어종의 다양성 측면을 고려하여야 하며 설계시 어도내 상류와 하류 웅덩이간 낙차는 20cm 미만으로 하여야 할 것이다.

This is to evaluate the ascending capacity of migratory fish in the pool and weir type fishways. Ascending environment of the migratory fish in rivers is analyzed through eco-hydraulic experiments using sweetfish, Plecoglossus altivelis, trout, Oncorhnchus mykiss, and surveying the fall height of existing pool and weir type fishways. When the fall height is less than 16.0cm, the ascending capacity of sweetfish in the pool and weir type fishways is greater than trout. On the other hand when the fall height is over 20.0 cm, the ascending capacity of trout is greater than sweetfish. A sweetfish may prefer to jump for upward moving than trout. And its endurance after upward jumping over wear is greater than that of sweetfish. Because of high fall height of existing pool and weir type fishways the migratory environment in rivers is so poor. When the pool and weir type fishways are designed and constructed in river the fall height of weir must be considered for the variety of migratory fish living in river and the fall height of weir less than 20.0cm is suggested.

키워드

참고문헌

  1. 김진홍, 검철 (1994). '어족 소상을 위한 계단식 어도 수리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수자원학회지, 한국수자원학회, 제27권,2호, pp. 63-72
  2. 박상덕 (1996). '수리실험에 의한 어도의 기능분석' 학술발표회논문집 (II), 대한토목학회 pp. 51-54
  3. 박상덕 (1998a). '취수보에 설치된 어도의 수리실험' 한국수자원학회 '97분과별 연구과업 보고서, 한국수자원학회, pp. 2-1-2-26
  4. 박상덕 (1998b). '동해안지역 어도시설 실태 및 기능', 동해안지역 회유성 어류를 위한 하천 생태 한경 보전 심포지움, 강릉대학교 동해안 지역연구소, pp. 5-1-5-40
  5. 박상덕 (1998c). '동해안지역 어도시설 및 관리', 한국수자원학회지, 제31권,4호, pp. 28-33
  6. 정문기 (1977), 한국어도보. 일지사 pp. 124-133
  7. 해양수산부, 강릉대학교 (1999). 어도시설 표준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8. 황종서, 허협 (2000). '양양남대천과 영덕오십천의 어도 및 어류의 소상' 한국농공학회지, 제42권, 제5호, pp. 70-77
  9. 廣瀨利雄, 中村中六 (1991) 魚道の設計
  10. 中村俊六 (1995) 魚道のはなし-魚道設計のための ガイドライソ, 山海堂
  11. Clay, C. H. (1995). Design of Fishways and Other Fish Faccilities. 2nd Ed. Lewis Pub
  12. Katopodis, C. (1982). A Study of the Hydraulics of Denil Fishways. M.Sc. Thesis, The University of Alberta, Edmonton, Alberta, Canada, pp.l-11
  13. Rajaratnam, N., Katopodis, C. and Mainali, A. (1992). 'Plunging and Streaming Flows in Pool and Weir Fishways.' J. of Hydraulic Engineering, ASCE Vol. 114, No.8, pp. 939 -9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