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Application and Analysis of Scale Effect on Dynamic Flood Frequency Analysis

동역학적 홍수빈도 모형의 적용 및 해상도 영향 분석

  • 문장원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자원환경연구부) ;
  • 유철상 (고려대학교 환경공학과) ;
  • 김중훈 (고려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 Published : 2001.02.01

Abstract

A dynamic flood frequency analysis model was proposed for the frequency analysis in ungaged catchment and applied to 6 subbasins in Pyungchang River basin. As the dynamic flood frequency model requires precipitation, rainfall loss system, and runoff analysis, we adopt the rectangular pulse model, the SCS formula, and the geomorphoclimatic IUH(GcIUH) for the application. Input data for the analysis was borrowed from the results of the statistical flood frequency analysis using L-moment method for the same catchment, and then the return period was estimated using the model. This result was also compared with the return period estimated from the statistical analysis. By comparing with the results from two cases, we found the dynamic flood frequency analysis gave higher estimates than those from statistical analysis for the whole subbasins. However, the dynamic flood frequency analysis model has a potential to be used for determining the design flood for small hydraulic structure in ungaged catchment because it uses only physical parameters for flood frequency analysis. And this model can be easily applicable to other watersheds as the scale effect is negligible.

동역학적 홍수빈도분석 모형은 미계측유역에서의 빈도분석을 위해 제안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동역학적 홍수빈도분석 모형을 평창강유역 내 총 6개 소유역에 적용하여 보았다. 보통 동역학적 홍수빈도분석 모형은 크게 강우 모형, 강우손실 모형, 그리고 유출 모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Rectangular Pulse 모형-SCS 유효유량 산정방법-지형 기후학적 순간단위도(GcIUH)방법으로 이루어진 동역학적 홍수빈도분석 모형을 이용하였다. 입력자료로 대상 유역의 L-moment법에 의한 통계학적 빈도분석 결과를 이용하였고 모형에의 적용결과 산정된 재현기간 값을 통계적 분석에 의한 재현기간과 비교하였다. 그 결과 전체적으로 동역학적 홍수빈도 분석의 결과가 크게 산정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나 평창강유역의 관측자료 부족과 유역의 물리적 특성만으로 빈도분석이 수행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동역학적 홍수빈도분석 모형이 미계측유역에서 소규모 수공구조물의 설계 홍수량 산정 시 대체방법으로 이용될 수 있음을 판단할 수 있었다. 또한 해상도의 영향 분석 결과 그다지 큰 영향을 주고 있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따라서 동역학적 홍수빈도분석 모형이 보다 보편적으로 이용 가능하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건설부 (1989). 국제수문개발계획(IHP) 대표유역연구 조사 보고서
  2. 김남원 (1998 a). 강우의 시.공간 분포특성 : 점 강우모형 매개변수 추정, 책임연구과제 보고서, 건기연 98-155, 한국건설기술연구원
  3. 김남원 (1998 b). 미계측유역의 확률홍수량 추정을 위한 동역학적 홍수빈도모형개발. 박사학위논문, 강원대학교
  4. 윤용남 (1998), 공업수문학. 청문각
  5. Diaz-Granados, M.A., Valdes, J.B., and Bras, R.L. (1984). 'A physically based flood frequency distribution.'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20, No. 7, pp. 995-1002
  6. Eagleson, P. (1972). 'Dynamics of Flood Frequency',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8, No. 4, pp. 878-898
  7. Henderson, F.M. (1963). 'Some properties of the unit hydrograph.'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Vol. 68, No. 10, pp. 4785-4793
  8. Hosking, J.R.M. (1991). Fortran routines for use with the method of L-moment version 2, IBM Math. Res. Rep. RC17097, Yorktown Heights, New York, p. 117
  9. Rains, T.H. and Valdes, J.B. (1993). 'Estimation of flood frequencies for ungaged catchments.' Journal of Hydraulic engineering, ASCE, Vol. 119, No. 10, pp. 1138-1154 https://doi.org/10.1061/(ASCE)0733-9429(1993)119:10(1138)
  10. Restrepo-Posada, P.J. and Eagleson, P. (1982). 'Identification of pendent rainstorms.' Journal of Hydrology, Vol. 55, pp. 303-319 https://doi.org/10.1016/0022-1694(82)90136-6
  11. Rodriguez-Iturbe, I., Gonzalez, M., and Bras, R.L. (1982). 'A geomorphoclimatic theory of the instantaneous unit hydrograph.'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 18, No. 4, pp. 877-886
  12. WMO (1989). Statistical distributions for flood frequency analysis. Report 33,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Operational Hydr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