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embodiment of Korean tradition of spatial comosition of contemporary residence

현대주택의 공간구성에 있어서 전통성 구현에 관한 연구

  • 허진석 (영남대 대학원 건축공학석사) ;
  • 정용환 (대구과학대 건축공학과)
  • Published : 2001.08.0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Korean tradition of residential space which continues since 1960s. Analysis of house works of contemporary architects on the foundation spatial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ditional residence show that the trend and methods of embodiment of tradition in present architecture. The result of analysis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most of contemporary architects separate a house into two Chae-An Chae and Sa Rang Chae. Second, spatial flows in contemporary house works are very active through transition spaces just as traditional residence. Third, positive An Ma Dang takes on introversion, extroversion and continuity of space and also plays an important role in a house.

Keywords

References

  1. 전통적인 주거건축 계획과정에 관한 연구 정의용
  2. 이씨조선시대 상류주택의 배치에 관한 기초적 연구 김일진
  3. 조선전기 주택사 연구 이호열
  4. 한국건축의 전통계승에 관한 연구 김인철
  5. 한국현대건축의 전통수용에 관한 연구 손철송
  6. 한국현대건축의 전통수용에 관한 연구 이동우
  7. 한국현대건축의 전통성 표현에 관한 연구 김종헌
  8. 한국건축사 윤장섭
  9. 한국건축의장론 정인국
  10. 한국건축의 외부공간 안영배
  11. 한국주택건축 주남철
  12. 한국주택의장 주남철
  13. 시대를 담는 그릇 김봉렬
  14. 앎과 삶의 공간 김봉렬
  15. 한국주거문화의 역사 강영환
  16. 한국 포스트모더니즘이 반성과 과제 임창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