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enhancing the bond strength of coating layer with support in preparation of low-pressure RO hollow fiber membranes

저압용 역삼투압 중공사형막 제조시 코팅층의 결합력 향상을 위한 연구

  • 염충균 (한국화학연구소 화학공정연구센터) ;
  • 최정환 (한국화학연구소 화학공정연구센터) ;
  • 이정민 (한국화학연구소 화학공정연구센터) ;
  • 이정빈 ((주)원일티엔아이)
  • Published : 2001.06.01

Abstract

A methodology for enhancing the bond strength of a coating layer with a support has been established in preparing low-pressure reverse osmosis mO) hollow fiber which would experience shear badly in flowing feed un it. Prior to coating process, the support membrane, ultrafiltratiun polysulfone(PS) hollow fibers was pretreated with a reaction solution containing glutaraldehyde (GAl which has a good affinity to the suppurt membrane material as well as a reactivity to some of the cunstituents of cuating layer subsequently formed on the support by interfacial polymerization. Therefore, the reactant GA distributed unifonnly over the support layer through the pretreatment could provide a strong adhesive bond between the coating layer and the support, sticking fast to the support membrane through physical bond and, at the same time, connecting its functional group with the coating laycr by chemical bonding. Due to the strong adhesive bond, the resulting hollow fiber membrane showed an excellent long-tcnn stability in pcnneation.

본 연구에서 상업용 폴리설폰 한외여과 중공사막을 지지체로 사용하여 저압 정수용 역삼투압막 제조시 막표면에서 feed의 큰 전단응력에 견딜 수 있도록 도포층과 지지층의 결합력을 증가시키는 전처리 방법을 확립하였다. 확립한 전처리 공정에서 지지막과 친화력이 좋으면서 도포층을 이루는 반응물과 반응성이 있는 글루탈알데히드와 촉매역할을 하는 염산 혼합 수용액으로 지지막을 전처리하면 이들 글루탈알데히드는 지지막 표면 및 기공 벽에 균일하게 분포되어 이후 표면중합법에 의해 형성된 도포층을 이루는 일부 반응물과 화학적으로 결합 되어 지지체와 도포층간에 강한 결합력을 제공한다. 전처리공정 없이 제조한 중공사 역삼투압막은 투과 후 5시간 이내에 feed의 큰 전단응력에 의해 도포층의 분리 파괴가 일어났으나 본 연구에서 확립한 방법으로 전처리하여 제조한 중공사막은 장시간 사용에도 우수한 막성능이 지속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Basic Principles of Membrane Technology(2nd Ed.) M. Mulder
  2. 연구보고서(Ⅱ-9930) RO/NF 중공사형 막모듈개발 염충균;이정민
  3. 대한민국특허 217311, PCT특허출원KR98/00257 소수성 지지막 위에 박막의 친수성 도포층을 갖는 복합막의 제조방법 염충균;김철웅;김범식;김광주;이정민
  4. J. Membr. Sci. v.156 C. K. Yeom;C. U. Kim;B. S. Kim;K. J. Kim;J. M. Lee
  5. J. Membr. Sci. v.169 C. K. Yeom;S. H. Lee;J. M. Lee
  6. J. Membr. Sci v.109 C. K. Yeom;K. H. Lee
  7. J. Membr. Sci. v.114 A. Kulkarni;D. Mukherjee;W. N. Gi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