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PPLYING ENTERPRISE GIS TO DISASTER MANAGEMENT AT KANGWON PROVINCE

  • Published : 2001.12.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scribe the Disaster Management System Development of Enterprise GIS at the Kangwon Province in Korea. This project is included into 'the Kangwon Enterprise GIS 21 plan'. The Division of Disaster Management is in the middle of the 2-year project of the Disaster Management System development, appropriate for business performed at the Departments of Forestry, Culture, Environment, Tourism, etc. At the 1st phase of CIS implementation, for more than half a year we focused on the necessity of management of disasters. In the planning process, we needed long-term information on the whole area of Kangwon. In the assessment and response processes, we needed real-time data from Korean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and other agencies. All the above information was carefully studied and referred to. ESRI's new GIS technologies solve the natural hazard/disaster problems. For example, hazardous materials routing often needs to be found the least expensive path through a roadway network. In the circumstances given, we can choose the departure point and destination of the vehicle, which carries the materials. It's also possible to minimize overall risk and costs of disaster problems by making a plan of people and possessions evacuation from the disaster area in short time limits. We can meet all the above goals using the latest ESRI's technologies.

본 논문은 enterprise CIS 기반의 강원도 재해관리시스템 개발에 관해 기술하였다. 이 프로젝트는 '강원 종합 GIS 21 계획'의 일환으로 이루어졌다. 재해방재과에서는 2년 프로젝트로서 재해 관리시스템을 개발하는 중이며, 산림, 문화, 환경, 관광 등의 측면에서 사업타당성을 분석하였다. GIS 구축 1단계에서는 반년이상을 재해관리의 필요성에 대해 초점을 두어 연구하였다. 계획과정에서 강원도 전체 지역에 대한 장기적인 정보가 필요하였다. 또한 평가와 응답단계에서는 기상청과 다른 기관으로부터의 실시간 자료가 요구되었다. 이런 모든 정보는 주의 깊게 분석되고 참조되었다. ESRI의 새로운 GIS기술은 자연 재난/재해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해주었다. 예를 들어 위험물질의 이동경로는 도로망 분석을 통해 최소비용 경로를 찾는데 도움을 주었고, 물질을 운반하는 차량의 출발지와 도착지를 선택할 수 있었다. 또한 재해지역으로부터의 사람과 재산에 대한 최단시간내의 대피계획을 수립함으로써 재해문제의 전반적인 위험과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