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Pilot Project to Measure Propagated Error in Buffering Process

버퍼링 과정에서의 오차전파 측정을 위한 선험 프로젝트 수행

  • 유기윤 (서울대학교 지구환경시스템공학부)
  • Published : 2001.12.30

Abstract

Buffering is one of the popular spatial analytical functions widely used in many proximity analyses. The buffeting inevitably entails a new polygon of specified edge that is simulated by rolling a ball around the buffering object. While buffering, the error on the buffering object propagates to the new buffered object. In this paper the error propagation behavior during the buffering operation is analyzed based on a pilot project for two different data models: polyline and spline curve. Thus, the error on the buffered objects are classified, mathematically defined, and measured. For measurements, the pilot project is designed and performed using a test site that is a lake boundary at Wisconsin, USA.

버퍼링은 근접 관련 공간분석에서 흔히 사용되는 기능의 하나이다. 버퍼링은 불가피하게 새로운 다각형을 생성하게 되는데 이는 버퍼전 객체의 주변에 볼을 굴려서 얻어지는 외곽선으로부터 생성된다. 버퍼링 과정에서 버퍼전 객체 상에 존재하는 오차는 새로이 생성된 다각형인 버퍼 후 객체로 전파된다. 본 논문에서는 버퍼링 연산의 시행시 이와 같은 오차의 전파양상을 선험 프로젝트에 기반하여 분석하여 보았다. 이를 위해 두개의 자료모델인 다중선과 스플라인 곡선모델이 이용되었다. 두 모델을 이용하여 버퍼전 객체상의 오차를 분류하고, 수학적으로 정의하고, 측정하여 보았다. 측정을 위한 선험 프로젝트의 대상은 미국 위스콘신주에 있는 호수의 경계로 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