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 비박형 기저막신증의 임상 및 병리학적 분석

Clinical and Pathologic Analysis of Thin Glomerular Basement Membrane Disease in Children

  • 고명진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부산백병원 소아과학교실) ;
  • 양태진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부산백병원 소아과학교실) ;
  • 김영주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부산백병원 병리학교실) ;
  • 정우영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부산백병원 소아과학교실)
  • Ko Myoung Jin (Department of Pediatrics, Inje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Pusan Paik Hospital) ;
  • Yang Tae Jin (Department of Pediatrics, Inje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Pusan Paik Hospital) ;
  • Kim Young Ju (Department of Pathology, Inje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Pusan Paik Hospital) ;
  • Chung Woo Yeong (Department of Pediatrics, Inje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Pusan Paik Hospital)
  • 발행 : 2001.04.01

초록

목 적 : 혈뇨의 가족력을 가지는 무증상성 혈뇨의 가장 흔한 기저질환 중의 하나로 알려져 있는 비박형 기저막 신증(Thin glomerular basement membrane disease)은 흔한 빈도수에 비해 임상적 양상이나 병리학적 소견에 대해서는 국내에서 체계적으로 잘 보고되어 있지 않다. 본 인구에서는 비박형 기저막 신증 환아들을 대상으의 임상적 및 병리학적 소견을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0년부터 2000년까지 무증상성 혈뇨를 주소로 내원한 환아 중 신장조직검사를 시행하여 비박형 기저막 신증으로 진단된 26명의 환아들을 대상으로 하여 임상적 및 병리학적 소견들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결 과 : 대상 환아들의 혈뇨의 발현시기는 9.4${\pm}$3.2세(3.0-15.8세)였고, 신생검 당시의 나이는 평균 11.1${\pm}$2.2세(4.7-16.3세)였다. 이중 성별에 따른 차이는 남아가 8례, 여아가 18례의 여아에서 더 많았다. 환아의 부모와 형제를 대상으로 실시한 요검사상 혈뇨의 가족력이 나타난 겅우는 8례(30.7$\%$) 였다. 입원 당시의 임상적 소견을 살펴보면, 육안적 혈뇨를 가진 경우가 3례(11.5$\%$), 현미경적 혈뇨 23례(88.5$\%$), 단백뇨 1례(3.8$\%$)로 대부분의 환아에서 현미경적 혈뇨가 주된 소견이었다. 임상경과의 관찰도중 현미경적 혈뇨는 전례에서 지속되었다. 신조직 검사상 광학현미경 소견에서는 이상소견이 거의 나타나지 않았으며, 면역형광현미경 소견에서는 대부분에서 면역글로불린과 보체의 침착을 관찰할 수 없었고 일부에서 메산지움에 IgM, C3와 fibrinogen의 침착이 관찰되었다. 전자 현미경 소견으로는 사구체 기저막의 두께는 180.9${\pm}$35.8nm로 얇아져 있었다. 결 론 : 본 연구에서 비박형 기저막 신증은 현미경적 혈뇨를 주소로 내원한 소아의 흔한 원인이며 혈뇨의 가족력이 있는 경우는 약 30$\%$에서 관찰되었다. 임상경과는 대부분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Purpose : Clinical manifestations and pathologic findings of thin glumerular basement membrane disease, recognized as a common underlying disease of benign, familaiar and asymptomatic hematuria has not been reported systemically in Korera. We analyzed clinical and pathologic findings of patients who were diagnosed as thin glomerular basement membrane disease Methods : We analyzed clinical and pathologic findings of twenty-six patients who were diagnosed as thin glomerular basement membrane disease by renal biopsy among who complained asymptomatic hematuria from 1990 to 2000. Results : The subjects were aged 9.4${\pm}$3.2 (3.0-15.8) years-old at onset of hematuria, and 11.1${\pm}$2.2 (4.7-16.3) years-old at renal biopsy. Sexual discrepancy was more common in girls (eight boys and eighteen girls). A family history of hematuria was found in 8 patients(30.7$\%$). Major clinical manifestation on admission was microscopic hematuria according to the findings of 3case(11.5$\%$) of gross hematuria, 23cases(88.5$\%$9) of microscopic hematuria, and 1 case(3.8$\%$) of proteinuria. Microscopic hematuria persisted in all cases. Kidney biopsy showed few changes by light microscopy, but IgM, C3 and fibrinogen deposit in mesangium was found by immunofluorescent microscopy in a few cases. Electron microscopic findings have revealed thinning of the glomerular basement membrane varied from 180.9${\pm}$35.8nm. Conclusion : Thin glomerular basement membrane disease might be a common cause of microscopic hematuria of children and family history was revealed in about 30$\%$. Clinical progression was good in majorities.(J. Korean Soc Pediatr Nephrol 5 : 1-8, 2001)

키워드